조지 부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대통령 당선인이 오는 10일 백악관에서 첫 회동을 가질 예정인 가운데 향후 두 사람이 어떤 관계를 유지할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록 오바마가 대선에서 승리했지만 내년 1월20일이 돼야 정식으로 미국 대통령에 취임하게 되며 아직은 부시 대통령이 현직으로서 모든 국정운영의 결정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은 지난 1930년 대공황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에 직면해 있고,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전쟁을 수행하고 있는 비상상황이라는 점에서 현재와 미래의 대통령이 동거하는 향후 75일간 두 대통령이 어떤 관계를 갖느냐가 현재와 미래의 위기대응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일단 부시 대통령과 오바마 당선인은 두 사람간 `차이'보다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오바마 당선을 `고무적인 것'이라고 평가하며 누차 평화롭고 원활하며 철저한 정권인수를 백악관과 행정부처에 당부하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5일 기자회견을 통해 차질없는 정권인수 방침을 선언한 뒤 6일엔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로라 여사, 백악관 직원 및 행정부처 주요인사들을 참석시킨 가운데 철저한 정권인수를 당부하는 행사를 갖기도 했다.

오바마 당선인도 선거가 끝난 뒤 이틀간 특별한 대외활동없이 `정중동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떠오르는 정권'인 오바마 당선인측이 `저무는 정권'인 부시 행정부에 바라는 것은 현 정부가 생각하는 것과 크게 다를 수 있다.

특히 오바마 당선인측이 출범도 하기 전에 부시 행정부의 정책과 차별화하면서 차기 정권에 부담이 될 만한 사안은 현정부에서 모두 떠안을 것을 요구할 경우 `협력 모드'가 `갈등 모드'로 언제든 돌변할 수 있다는 것.
더욱이 오바마는 부시 행정부의 업적에 대한 비판적 여론에 힘입어 대통령에 당선된 만큼 `상생과 협력'이라는 게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미 현재와 미래의 두 미국 대통령 간에는 제2 경기부양책, 이라크 주둔 미군의 철수 등 현안을 놓고 견해차를 드러내고 있다.

오바마 당선인은 이미 대선과정에 제2 경기부양책의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부시 대통령은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이미 발표된 7천억달러 경기부양책을 내실있게 추진하는 데 역점을 둬왔다.

선거가 끝나자마자 민주당은 즉각 제2 경기부양책 마련을 부시 행정부에게 압박하고 나섰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민주당이 상.하원 의석수를 늘리면서 의회권력 지배력을 공고히 하자 5일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17일 소집되는 `레임덕 회기'에 추가적인 경기부양책 마련을 위한 협의에 나설 것을 백악관과 공화당에 촉구했다.

백악관의 대응은 여전히 부정적이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현재와 미래의 미국 지도부가 비상사태에 대해 한 목소리로 일사불란하고 효율적으로 위기에 대응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10일 예정된 부시 대통령과 오바마 당선인 회동에 이목이 쏠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오는 14.15일 부시 대통령이 개최하는 `G-20회의'에 차기 미국 정부를 떠맡을 책임자로서 오바마 당선인의 참석 여부도 관심의 대상이다.

일각에선 차기 미국 대통령인 오바마가 참석, 시장(Market)과 전세계 다른 국가들에게 신뢰와 믿음을 심어줘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에 다른 일각에선 부시 대통령과 오바마 당선인이 함께 참석해서 서로 다른 해법을 제시할 경우 시장에 혼란만 가중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아직까지 모든 정책 결정권과 집행책임을 부시 대통령이 쥐고 있지만 시장과 세계는 오바마 당선인의 `입'에 더 주목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바마 당선인측이 정권인수업무를 어떻게 전개할 지 방법론에 대해서도 의견이 엇갈린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바마측이 조기에 정권인수를 본격화하고 차기 정부의 청사진을 제시함으로써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오바마 진영이 조급하게 뭔가를 이루기 위해 `변화'를 추구할 경우 혼선만 부추길 수 있는 만큼 전면에 나서기보다 가급적 막후에서 `조용한' 정권인수작업을 벌여야 한다는 상반된 견해도 나오고 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병수 특파원 bings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