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Tip] 美 알부자 투자전략은 '홈런보다 안타'
미국의 알짜 부자들은 헤지펀드와 같은 고위험 상품보다는 주식에 투자를 많이 하며 철저한 분산 투자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NN머니는 26일(현지시간) 투자자문회사인 노던트러스트의 조사 자료를 인용,"투자자산이 100만달러(약 9억3000만원)~1000만달러(약 93억원)인 미국 부자들은 자산의 절반 이상을 미국 주식과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다"며 "헤지펀드와 같이 위험성이 큰 상품에는 거의 투자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노던트러스트의 조사에 따르면 이들 부자들은 자산의 45%를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에는 단 1% 정도만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액 자산가나 기관투자가들을 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는 배일러드캐피털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피터 힐도 "우리 고객 대부분은 '홈런'을 치는 것보다는 견조한 성장을 추구하며 이 같은 이유로 포트폴리오(투자 종목 구성) 다양화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서는 "주식도 성장주 소형주 핵심주 가치주 등으로 다양화해야 한다"며 "브레이크 없이 터보엔진을 가동할 수 없으며 초소형주만으로 돈을 만들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부자들은 다(多)통화 전략도 선호한다.
샘슨캐피털어드바이저스의 조나단 루이스 회장은 "보유 통화를 다양화하면 약달러의 지속에도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부자들은 투자 상담도 한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사람의 조언을 들어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 같은 부자들의 분산 투자는 전 세계적인 시장 불안도 피해갈 수 있다.
중동에서 전쟁이 악화되고 고유가가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거나,중국이나 인도 경제가 갑자기 침체되더라도 투자를 다양화하면 큰 위험은 피할 수 있다는 것.
피터 힐 CIO는 "우리는 세상의 모든 위험을 두려워하며 살 순 없지만 투자 분산이 세계 시장이 오락가락할 때도 꾸준한 수익률을 보장해 주는 길인 것만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CNN머니는 26일(현지시간) 투자자문회사인 노던트러스트의 조사 자료를 인용,"투자자산이 100만달러(약 9억3000만원)~1000만달러(약 93억원)인 미국 부자들은 자산의 절반 이상을 미국 주식과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다"며 "헤지펀드와 같이 위험성이 큰 상품에는 거의 투자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노던트러스트의 조사에 따르면 이들 부자들은 자산의 45%를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에는 단 1% 정도만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액 자산가나 기관투자가들을 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는 배일러드캐피털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피터 힐도 "우리 고객 대부분은 '홈런'을 치는 것보다는 견조한 성장을 추구하며 이 같은 이유로 포트폴리오(투자 종목 구성) 다양화도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서는 "주식도 성장주 소형주 핵심주 가치주 등으로 다양화해야 한다"며 "브레이크 없이 터보엔진을 가동할 수 없으며 초소형주만으로 돈을 만들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부자들은 다(多)통화 전략도 선호한다.
샘슨캐피털어드바이저스의 조나단 루이스 회장은 "보유 통화를 다양화하면 약달러의 지속에도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부자들은 투자 상담도 한 사람에 의존하지 않고 여러 사람의 조언을 들어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 같은 부자들의 분산 투자는 전 세계적인 시장 불안도 피해갈 수 있다.
중동에서 전쟁이 악화되고 고유가가 세계 경제의 발목을 잡거나,중국이나 인도 경제가 갑자기 침체되더라도 투자를 다양화하면 큰 위험은 피할 수 있다는 것.
피터 힐 CIO는 "우리는 세상의 모든 위험을 두려워하며 살 순 없지만 투자 분산이 세계 시장이 오락가락할 때도 꾸준한 수익률을 보장해 주는 길인 것만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