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시 짓는데 고전"…온라인 퍼즐 정답률 0% 지적도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간 인공지능(AI) 챗봇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구글의 '바드'(Bard)가 MS의 '빙'(Bing)보다 기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21일부터 미국과 영국에서 일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바드에 대한 테스트에 들어갔다. 바드 출시를 예고한 지 약 한 달 반만이다. 앞서 MS가 빙 테스트를 시작한 것보다도 한 달 이상 늦었다. 테스트 기간이긴 하지만, 이용자들은 바드에 대해 실망감을 나타내고 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전했다. 시장에서는 비록 바드의 출시는 늦었어도 구글이 전 세계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AI 분야 선두주자인 만큼 챗GPT를 등에 업은 MS를 넘어설 것이란 기대가 있었다. 테크 유튜버 마르키스 브라운리는 자신의 트위터에 "오늘 구글 바드를 좀 이용해 봤는데 이런 말을 하게 될 줄은 상상도 못 했다"며 "(특정 채팅 기능에서) 빙이 구글의 바드를 훨씬 앞선다"고 썼다.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에단 몰릭 부교수는 "바드는 빙이나 GPT-4만큼 학습 도구로서 능력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시를 짓는 데에 바드는 경쟁자인 빙보다 많이 뒤처져 있다"며 "프랑스의 39행으로 된 시 시스티나를 짓는데 바드는 고전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기이한 스토리텔링으로 유명한 영화감독 데이비드 린치 스타일의 '스타워즈' 영화 시놉시스(간단한 줄거리)를 만들어 달라는 요청에 그럴듯하게 이야기를 만들어 낸 빙과 달리 바드의 이야기는 평범했다. 더군더나 단어 퍼즐 게임에서 바드의 능력은 크게 떨어졌다는 평가
로이터, 복수 소식통 인용 보도…"내달 하순 이드 알피트르때 대사관 개관" 이란과 외교관계를 정상화한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번에는 시리아와 관계도 복원하기로 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리아 측과 관계된 소식통은 "양국이 다음 달 하순에 돌아오는 이슬람 명절인 이드 알-피트르에 대사관 재개관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역내 다른 소식통은 시리아의 핵심 동맹인 이란과 사우디의 역사적인 관계 복원 합의가 사우디-시리아 간 접촉에 가속도를 붙이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걸프 지역의 고위 외교 소식통은 "시리아의 고위 정보 관리가 리야드에 수일간 체류하면서 대사관을 곧 재개설한다는 합의가 타결됐다"고 말했다. 사우디 정부 공보실과 외무부는 물론, 시리아 정부도 관계 복원 합의 확인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시리아는 2011년 내전 발생 후 22개국으로 구성된 아랍연맹에서 퇴출당했다. 아랍권과 서방 국가들은 반정부 시위에 대한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의 강경 진압을 내전 원인으로 지목하고 내전 초기에는 반군을 지지했다. 전쟁이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아사드 대통령은 러시아와 이란 같은 우방국의 군사 지원으로 국토 대부분을 다시 장악했으며, 아랍 국가들은 최근 수년간 그와의 관계 회복 움직임을 보여왔다. 특히 아랍에미리트(UAE)는 지난해 3월에 이어 이달에도 아사드 대통령을 초청하는 등 시리아와의 관계 회복에 공을 들여왔다. 사우디와 시리아의 관계 개선은 사우디-이란 관계 회복이 중동 정세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게 된다. 사우디-이란의 관계 정상화가 현실화하면 아랍권 동맹들과 시리아 간
상무위원장 "틱톡,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정보 수집…통제·감시의 길 택해"추쇼우즈 CEO "中기관원 아니다"…일부 사용자 자료 中 접근 가능 인정 중국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의 안보 위협을 논의하기 위한 미국 하원의 청문회가 23일(현지시간) 열렸다. 미국 내 틱톡 사용 금지를 놓고 초당적 합의를 이룬 의원들은 이날 청문회에서 여야를 가리지 않고 틱톡 미국 사용자 정보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접근 가능성을 우려하며 틱톡 추쇼우즈 최고경영자(CEO)를 강하게 몰아붙였다. 미국 의회는 지난 연말 처리한 2023 회계연도(2022년 10월~2023년 9월) 예산법안에서 정부 내 기기에서 틱톡 사용 금지 조항을 포함시킨 바 있다. 미국 정치권에서는 틱톡 이용자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보 접근 및 감시 우려를 이유로 미국에서 틱톡을 아예 금지하도록 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검토중이다. 공화당 소속인 캐시 맥모리스 로저스 위원장은 이날 청문회에서 "미국인은 틱톡이 우리 국가와 개인의 안보에 취하는 위협에 대해 진실을 알아야 한다"며 "틱톡은 반복적으로 통제와 감시와 조작을 강화하는 길을 택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로저스 위원장은 "틱톡은 사람들의 위치는 물론이고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를 비롯해 생물학적 정보 등 상상 가능한 거의 모든 자료를 수집한다"며 "우리는 틱톡이 자유와 인권, 혁신이라는 미국의 가치를 포용한 적이 단 한 번이라도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직격했다. 그는 "중국 공산당이 미국 전체를 조종하는 데에 틱톡을 사용할 수 있다"고까지 주장하며 '틱톡 위협론'을 역설했다. 민주당 간사인 프랭크 펄론 의원도 "틱톡은 자료 수집을 계속하고 있으며, 이를 판매하는 일도 지속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