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시험 발사 정보도 포함"…美 '핵탄두 정보 공개 불가'에 대응수위 높여 러시아가 최근 맹방 벨라루스에 전술 핵무기를 배치하기로 한 데 이어 미국에 핵무기 관련 모든 정보 제공을 중단한다고 밝히는 등 안보 불안을 자극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29일(현지시간) 스푸트니크 통신과 인터뷰에서 "신전략무기감축조약(New START·뉴스타트)에 따라 이뤄지던 러시아와 미국 간의 모든 정보 이전이 중단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미사일 시험 발사 통보도 앞으론 없을 것이라고 랴브코프 차관은 덧붙였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국정연설을 통해 뉴스타트 참여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뉴스타트는 미국과 러시아가 2010년 체결한 협정으로, 양국이 핵탄두와 운반체를 일정 수 이하로 줄이고 쌍방 간 핵시설을 주기적으로 사찰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협정은 한 차례 연장을 거쳐 2026년 2월까지 유효하지만 연장 협상이 답보 상태인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에 미국은 협정 의무를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건 법적 근거가 없는 행동으로 규정하고, 맞대응 차원에서 러시아에 자국의 핵탄두 숫자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이날 랴브코프 차관의 '모든 핵무기 정보제공 중단' 발표는 이 같은 미국의 대응에 맞불 수위를 더 높인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지난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교전을 이어가고 있는 러시아는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정세를 흔들기 위해 핵 역량을 내세운 위협성 행보를 종종 보여왔다. 지난 25일 푸틴 대통령은 국영 방송과 인터뷰에서 벨라루스에 전술 핵무기를 배치하기로 양
세계보건기구(WHO)가 비만치료제를 필수 의약품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2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미국의 의사 3명과 연구원 1명이 노보노디스크의 비만치료제 삭센다의 유효성분인 리라글루티드를 포함한 비만치료제들을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해달라고 신청한 데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신청서에서 "체중 감량을 목적으로 하는 약물은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들어있지 않다"며 저소득 국가에서 비만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건강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신청이 받아들여지게 되면 WHO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처음으로 비만치료제가 들어가게 된다. WHO는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에서 다음 달부터 리라글루티드 관련 증거자료를 검토하게 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등재 신청을 기각하거나 추가 증거를 제출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필수의약품 목록은 9월에 제출된다. WHO의 필수 의약품 목록은 중·저소득 국가의 정부의 구매계획에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된다. WHO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 6억5천만명 이상이 비만으로, 그 비율은 1975년에 비해 3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과체중 인구는 13억명에 달한다. 비만 인구의 70%는 중·저소득 국가에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리라글루티드 등 비만치료제가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될 경우 이러한 중·저소득 국가의 비만 인구에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2002년 항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제가 2002년 WHO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추가되면서 가난한 국가의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 환자들이 널리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보고 있다. 또한 노보
이란의 숙적 이스라엘, 주아제르 대사관 열어 이란에 비판적인 아제르바이잔 의원이 괴한으로부터 총기 공격을 받았다고 현지 매체 'Haqqin.az' 등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아제르바이잔 국가보안국은 전날 밤 파질 무스타파(57) 의원이 자택에서 총기 공격을 받았으며, 현재 범인을 잡기 위한 수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어깨와 허벅지에 총을 맞은 무스타파 의원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고 있다. 가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무스타파 의원은 전날 차고에 자동차를 주차한 뒤 집으로 들어가던 중 공격을 받았다. 무스타파 의원은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자동소총을 든 남성이 차고에 접근해 총을 쏘고 달아났다"며 "가족들의 신고로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국가보안국은 무스타파 의원이 평소 이란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해온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이란은 라이벌인 튀르키예(터키)와 가까운 아제르바이잔과 그동안 불편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지난 1월 주이란 아제르바이잔 대사관 총기 피습 사건 발생 후 양국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아제르바이잔은 주이란 대사관을 폐쇄하고 외교관과 가족을 전원 철수시켰다. 이란 정부는 사건이 양국 관계와 상관없는 개인적인 동기에 의한 범행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편 이란의 최대 적성국인 이스라엘은 29일 주아제르바이잔 대사관을 설치했다. 이란은 아제르바이잔과 이스라엘이 가까워지는 것을 경계한다. 북쪽으로 아제르바이잔과 국경을 접한 이란은 아제르바이잔 영토가 자국을 겨냥한 이스라엘의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스라엘은 아제르바이잔의 주요 무기 공급국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