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과 북한 이외에도 `몇몇 국가들'이 핵무기 개발을추구하면서 파키스탄 지하 핵조직과의 거래를 추진하고 있다고 존 볼튼 미 국무차관이 27일(현지시간) 밝혔다. 볼튼 차관은 또 이란과 북한 등이 핵비확산조약(NPT)의 허점을 이용, 은밀히 핵개발을 계속해 NPT 체제가 위기에 처해있다면서 특히 이란에 대해서는 유엔이 안보리 제재수단을 포함, 핵개발을 막기위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볼튼 차관은 "더이상의 보강증거가 필요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가 있으며 위협의정도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서 `핵개발을 추구하는 몇몇 국가들'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거론하지는 않았다. 그는 "미국은 여전히 추가정보를 찾고 있다"면서 특히 핵기술 밀매혐의를 받고있는 파키스탄 압둘 카디르 칸 박사의 비밀거래망에 포함된 국가가 있는지에 대해조사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볼튼 차관은 내년도에 개최될 전세계적 NPT 체제 점검회의에 앞서 열린 유엔 위원회에서 "이란의 기만을 더이상 방치한다면 이란은 결국 핵무기를 갖게될 것"이라면서 안보리가 테헤란 정부를 안보와 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낙인찍는 방안을 포함, 유엔이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합법을 가장한 은밀한 핵개발로 NPT 체제가 위기에 처해있다"면서 "조지 부시 대통령도 불량 국가들이 평화적 핵기술이라는 미명하에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은 막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볼튼 차관은 NPT 체제 허점의 사례로 이란과 북한을 예시하면서 "이란은 18년간이나 대규모의 은밀한 핵무기 프로그램을 숨겨왔다"고 지적하고 "북한은 핵개발 프로그램으로 국제사회에 위협을 가하는데 NPT를 이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핵물질 농축과 재처리시설에 제한을 가해야 한다는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미국은 현재 완벽한 핵농축 및 재처리 능력을 갖추지 못한 나라에 대해 관련 장비와 기술을 팔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안을 원하고 있다. 한편, 볼튼 차관은 "미국은 북핵 6자회담이 평화적, 외교적 해법을 찾기를 희망한다"고 말하고 "그러나 단순히 대화가 이어지는 것 만으로는 진전이 아니다"고 말했다. (뉴욕 AP.dpa=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