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 등 3국을 잇는 자유무역협정(FTA) 논의가 활발하다. 한국과 일본이 올해 안에 FTA협의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중간자 역할을 자임하고 나선 한국으로서는 일본과 교섭을 먼저 한 뒤 이를 중국으로 확대하겠다는 뜻이 엿보인다. 중국은 어떤 입장일까. 상하이 푸단(復旦)대학교 세계경제연구소 소장인 화민 교수에게 이 문제를 던졌다. 그는 "한국과는 논의해 볼 수 있지만, 그러나 일본과 FTA를 맺는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단정했다. 일본 경제의 폐쇄성, 중국인의 대일감정 등으로 볼 때 중·일 FTA는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화민 교수뿐만 아니다. 지난 4년여 동안 기자가 만난 대부분의 학계 및 관계 경제전문가들은 '3국을 잇는 FTA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었다. 그게 바로 동북아 3국 FTA에 대한 중국 경제계의 기본 시각이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최근 다소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언론보도에 따르면 원자바오 총리는 이달 초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담에서 네가지 제안을 했다. '중국은 한국·중국·일본 3국의 자유무역지구 설립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게 그 중 하나였다. 이 사안에 대해 소극적이었던 중국이 보다 전향적으로 나서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 총리의 제안 중 마지막을 보면 동북아 FTA에 대한 중국정부의 입장을 어렴풋이 가늠할 수 있다. 원 총리는 "중국이 내년 개최할 동북지방(랴오닝 헤이룽장 지린 등 3개 성) 발전 대회에 일본과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제의했다. 동북개발은 중국정부가 최근 시작한 지방 발전 전략.서부개발에서 소외된 동북지방 경제를 발전시키자는 차원이다. 이 지역 발전에 관심을 가질 나라로는 일본과 한국을 제외하면 없다. 동북발전 계획의 성공을 위해서는 일본과 한국의 투자가 절실하다. 원 총리의 제안을 보며 '중국은 동북3성 발전 전략에 한국과 일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FTA를 지렛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의문을 갖게 된다. 상하이=한우덕 특파원 wood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