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과 중국 국경지대에 탈북자들을 위한 임시수용소를 건설하는 방안이 한때 한국의 종교단체와 미국 의회의원들을 중심으로 추진됐으나 북한의 강력한 반발과 함께 한국 및 중국 정부의 미온적 태도로 계획의 성사가 불투명해졌다고 28일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보도했다. 당초 한국의 두레공동체운동본부와 미 의회의원, 몽골 현지 관리들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480㎞떨어진 국경지대에 옛 소련군의 군사기지로 사용되던 막사와 아파트를 개조, 탈북자들을 임시수용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이에 대해 북한은 지난해 백남순 외무상을 몽골로 보내 해묵은 양국 우호협력협정을 새로 체결하면서 몽골 당국을 상대로 탈북자 임시수용소 건설방안을 좌절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몽골의 관리들은 이후 옛 소련군 기지를 그냥 그대로 내버려 두는 것이 나을 것같다는 쪽으로 입장이 바뀌었다고 타임스는 전했다. 북한의 갑작스런 붕괴를 원치 않는 중국 역시 북한내에서 탈북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더 낫다면서 탈북자 수용소 건설 방안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아울러 중국은 올 가을들어 15만명의 국경수비 병력을 북한접경지대에 증강 배치했다. 한국 정부 역시 북한을 자극할 것을 우려, 탈북자 임시수용소 구상에 묵시적으로 반대하고 있다고 타임스는 보도했다. 이같은 분위기에서 남바르 엥흐바야르 몽골 총리는 "몽골은 그 어느 국가도 자극하기를 원치 않는다"면서 "몽골은 조그만 나라이며 남.북한 어디와도 직접적으로 이웃해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다. 오는 11월 남.북한을 방문할 예정인 엥흐바야르 총리는 최근 몇 달간 두레공동체운동 대표 등을 비롯, 탈북자 임시수용소 건설을 추진하는 단체의 대표들의 방문을 받았다. 두레공동체운동은 임시수용소로 사용하기 위한 토지를 구입한 바 있다. 엥흐바야르 총리는 "목숨을 걸고 긴 여정을 거쳐 국경을 넘는 사람들을 인도주의적으로 대우해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탈북자 수용소 문제에 관한 한 몽골 정부 차원에서의 건설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