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프리처드 미 국무부 대북 교섭담당대사가 사임하기에 앞서 최근 미국의 대북 강경파들이 그에 대한 사임 압력을 행사했다고 뉴욕 타임스 인터넷판이 미 관리들을 인용, 26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 국무부의 고위 북한문제 전문가로 북핵 문제와 관련, 대북 인센티브 정책을 지지했던 프리처드 대사가 북핵 6자 회담을 며칠 앞둔 아주 중요한 시점에 사임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최근 몇 주 사이 존 볼턴 미 국무부 군축담당 차관이 주장해온 대북 강경입장이 미국내 여론의 지지를 얻었고 적어도 1명 이상의 공화당 상원의원이 프리처드 대사의 대북 접근 방법에 대해 콜린 파월 국무장관에게 불만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공화당 소속 대북 강경파인 존 킬 상원의원(애리조나)은 지난주 파월 국무장관에게 편지를 보내 지난달 31일 볼턴 국무부 차관의 원색적인 북한 비난 발언에 관한행정부의 "엇갈리는(mixed) 메시지"에 대해 항의했다고 이 신문은 밝혔다. 킬 의원의 편지에 따르면 프리처드 대사는 최근 한 유엔 주재 북한 외교관에게볼턴 차관의 발언은 순전히 "개인적인" 견해라고 말했다. 킬 의원은 파월 장관에게 보낸 편지의 사본을 딕 체니 부통령과 리처드 아미티지 국무부 부장관, 볼턴 차관에게도 보냈다고 신문은 밝혔다. 그러나 프리처드 대사는 지난 4월18일 이미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윗사람들의 요청에 따라 지금까지 일을 계속해왔다면서 볼턴 차관의 발언이 그의 사임과 아무런관련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당국자들이 최근 회합에서 볼턴 차관의 발언문제를 거론했으나 그 발언이 그의 개인적인 견해를 반영한 것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필립 리커 미국무부 대변인도 26일 프리처드가 강제로 사임했다는 주장을 부인했다.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은 이날 미국의 가장 경험이 많은 대북 협상가들 가운데한 명이 북한의 핵개발 야망을 종식시키는 문제에 관한 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임했다고 보도했다. 미 국무부는 프리처드의 사임이 대북 정책을 둘러싼 행정부에 의견대립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을 부인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재석기자 bond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