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전, 북핵문제 등 주요 사안을 둘러싸고 미국 국방부와 국무부 사이에 첨예하게 나타났던 강온대립이 비단 조지 W. 부시 현 정부내의 현상만은 아니라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27일 보도했다. 외교관들로 구성된 국무부와 군인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국방부가 사사건건 의견충돌을 빚은 것은 19세기 남북전쟁 당시부터 나타난 현상으로 현정부내에서 벌어지는 양 세력간 갈등은 전혀 새로울 것이 없다는 것. 신문은 19세기 중반 남북전쟁 당시 남부연합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지녔던 윌리엄 H. 슈어드 국무장관이 무력보다는 외교에 의한 해결책을 선호하면서 주위의 반발을 산 전례가 국방부-국무부 강온대립의 시작이었다고 지적했다. 또 냉전 시대인 70년대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이 당시 소련과의 긴장완화를 위해'데탕트' 정책을 추진했으나 당시 최연소 국방장관으로 재직했던 도널드 럼즈펠드국방장관과 충돌하기도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국방부와 국무부의 갈등은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도 예외가 아니어서 알렉산더 헤이그 국무장관과 조지 슐츠 국무장관도 강경 외교 정책을 주도하던 캐스퍼 와인버거 국방장관과 보이지 않는 갈등을 겪어야 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신문은 그러나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재임기간중 코소보 전쟁을 강행하는 등 '강경한' 외교정책을 적절히 구사해, 눈에 띄는 갈등은 겪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 부시 행정부의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주요 사안마다 다른 목소리를 내며 갈등을 겪었다. 파월 장관은 지난 2001년 3월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계승할 가능성을 내비쳤다가 강경파의 거센 반발을 샀다. 그는 또 같은해 4월 미 정찰기가 중국 전투기와 충돌한 뒤 중국 하이난다오(海南島)에 강제착륙 당했을 때에도 미군 석방을 위해 유화적인 접근법을 제시해 이에 반대하는 강경파의 눈총을 사기도 했다.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서도 파월 장관은 유엔과 EU, 러시아 등이 동참하는 다자 평화협상 구도를 마련하려했던데 반해 럼즈펠드 장관은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의 강경책을 지지했다. 이 처럼 사안마다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웠던 국무부-국방부의 갈등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주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조성현기자 eyebrow76@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