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쟁이 끝나가면서 이라크 사람들은 전후복구와 국제사회의 참여 방안 등에 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해결책 마련은 쉽지않을 전망이다. 이라크의 한 경제주간지 논설위원은 "사담 후세인의 35년 독재체제 붕괴와 더불어 이라크가 전쟁이후 어떻게 변할 것인가가 국민의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고 말한 데서 이런 분위기를 잘 읽을 수 있다. 그는 "우리는 2차 세계대전 후의 독일 및 일본과 유사한 상황에 놓여 있다"고지적하고 "당시의 유럽의 전후 재건사업을 뒷받침했던 마샬플랜과 같은 이라크 재건계획이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될 경우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 2위 산유국인 이라크는 석유 판매수입을 통한 외채상환 등 경제난 극복 및 경제재건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라크는 산유국임에도 2천500만 인구의 절반이 넘는 60퍼센트 가량이 유엔 감독하의 석유-식량 프로그램을 통해 조달된 배급품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은 이미 이라크 재건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으나실질적인 재건작업은 새 정권이 들어선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새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수도, 전기, 통신과 같은 기초 생활시설을복구하는데 치중할 예정이지만 역시 본격적인 복구는 과도정부와 국민투표를 거쳐새 민선정부가 들어선 이후에야 가능하다. 그러나 이라크내 종파간 또는 반체제 단체간 갈등과 불명확한 정치일정 등으로 전후복구와 경제재건이 순조로울 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이라크 반체제 인사로 이라크 국민회의(INC)를 이끌고 있는 아흐마드 찰라비는이와 관련해 "새 정부 구성과 함께 본격적인 복구작업이 이뤄질 때까지 약 2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다국적 금융기관들의 참여 시점은 미지수로 남아있다. 이라크의 한 경제학자는 이란과의 7년 전쟁, 걸프전, 그리고 유엔 제재와 미국 침공을 거치며 겪은 이라크의 피해를 복구하는데 드는 비용으로 500억 달러를 추산했다. 이라크전 승리 이후 미국은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 채권국들을 상대로 이라크의 새 정부를 돕는 차원에서 부채의 전부나 일부를 탕감해주도록 로비활동을 벌이고 있다. (바그다드 AFP=연합뉴스) sangwon700@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