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19개 회원국은 21일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이라크에 대해 유엔의 무장해제 결의를 전면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나토 정상들은 또 동구권 7개국을 새 회원국으로 받아들였고 미국이 유럽 회원국들에게 요청한 2만명 규모의 신속대응군 창설 방안을 승인했다. ◇유엔 결의 이행 촉구 나토는 대(對)이라크 성명을 통해 "나토 동맹국들은 아무런 조건이나 제한도 없이 이라크의 전면적이고 즉각적인 순응을 담보해내기 위한 효과적인 조치를 취해야한다는데 견해를 함께 하고 있다"면서 "전면적이고 즉각적인" 유엔 결의 이행을 촉구했다. 성명은 이어 "이라크가 주어진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유엔 안보리가 이번 결의에서 이라크에 대해 의무를 계속 위반할경우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것임을 경고한 점을 환기시키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 성명은 사담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이 유엔 결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군사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지 않았으나 미 당국자들은 성명 내용에 만족감을표시했다. 곤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담당 보좌관은 프라하에서 기자들에게 나토의성명은 "이라크에게 다른 선택권은 없으며 아무도 이라크의 버티기를 지지하지 않을것임을 알려주는 것"으로 평가했다. 라이스 보좌관은 "우리는 이라크가 유엔 결의를 전적으로 이행할 것이라는 데아주 회의적"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는 이날 회담을 갖고평화적인 방법을 통한 이라크의 무장해제 의지를 재확인하는 한편 후세인이 유엔의무기사찰에 협력하지 않을 경우 전쟁이 불가피하다는데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동구권 7개국 가입 승인 나토 19개 회원국 지도자들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옛 공산권 7개국을 새 회원국으로 받아들여 옛 소련 영토까지 안보영역을 넓히는 사상 최대의 나토 확대 방안을승인했다. 이에 따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등 발트해 연안 3개국과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동구권 4개국이 오는 2004년 나토의 안보우산 아래로 편입되게 됐다. 조지 로버트슨 나토 사무총장은 이날 회의 개막과 함께 신규 회원국 명단을 정상회담에 제출했고 참석한 정상들은 만장일치의 박수로 안건을 즉시 통과시켰다. 로버트슨 사무총장은 "이번 회의는 나토의 이행기를 규정짓는 중요한 순간이다.나토 확대를 통해 대서양을 넘나드는 군사.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언제, 어디서 위협에 직면하든 대처할 수 있는 조직과 능력을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알렉산드르 야코벤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한 러시아 일간지 인터뷰에서 "러시아는 나토의 회원국 확대조치를 각색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어떤 국가든 나토에가입할 수 있는 정당한 권리를 갖고 있다는 점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그동안 나토의 팽창에 반대해왔다. 부시 미국 대통령은 "오늘 결정에 매우 만족한다. 이 결정은 동맹의 군사적 능력을 제고함과 동시에 민주적 동맹이 갖고 있는 자유, 평화의 가치를 드높이고 유럽(안보)에 대한 우리의 노력을 새롭게 한다"고 평가했다. 또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은 "유럽이 과거의 균열을 제거하고 하나로 통합되는 역사적 순간"이라고 평가했고 블레어 영국 총리는 "나토 영역의 지정학적 안정과 공동안보를 위한 주춧돌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신속대응군 창설 이번 회담에서 승인된 신속대응군 창설은 테러리즘과 불량국가들의 위협에 기동력있게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방위를 기본목적으로 한 나토의 전략체제를 근본적으로 수정하는 방안 중 하나이다. 미국은 나토 군사력 증강을 위해 유럽 회원국들에게 국내총생산(GDP)의 2% 수준까지 군사비 지출을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독일 등 일부 국가들이 재정적자를이유로 난색을 표시하고 있어 타협이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프라하.모스크바 AP.AFP=연합뉴스) bond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