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클린턴 전(前) 미국 행정부는 지난 94년 제네바 핵합의에 이르기 전 북한이 플루토늄에 기반한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거의 전쟁일보 직전까지 나아갔었다고 당시 고위 국방관료 2명이 20일 워싱턴 포스트 기고문을 통해 밝혔다. 94년 당시 클린턴 행정부에서 각각 국방장관과 국제안보 담당 국방차관보를 지낸 윌리엄 페리와 애시턴 카터는 기고문에서 "북한의 핵시설을 공격하고 잇따르게 될 전쟁에 대비해 미군 수십만명을 동원"할 계획을 두 사람 모두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94년 첫 6개월 대부분을 한반도에서의 전쟁에 대비하면서 보냈다"면서"북한은 영변 원자로 시설에 대한 국제사찰을 거부했고, 몇 개월 후면 약 6기의 핵폭탄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플루토늄 채취로 이어질 단계로 나아가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들은 정밀 유도 폭탄으로 영변 원자로를 공격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고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회고했다. 두 전직 국방관리는 "방사성 물질을 공기속으로 쏟아내게 될 원자로 노심(爐心)용해를 일으키지 않고 원자로가 제거될 것이라고 확신했다"면서 "플루토늄은 땅속에묻히게 될 것이고, 원자로 핵연료가 핵폭탄 물질로 재처리되도록 설계된 이 특별 건물도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전쟁이 벌어지면 그 피해가 엄청날 것으로 생각했지만, 북한의 핵무장을 통한 위협은 그것 이상으로 위험했기 때문에 전쟁을 감수할 준비를 했었다고 말했다. 이른바 이런 미국의 대(對)북한 `선제공격' 위기는 북한의 핵개발 동결을 대가로 경수로를 건설해주고 중유(重油)를 제공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94년 제네바 기본합의로 평화스럽게 해결됐다. 페리 전 장관과 카터 전 차관보는 최근 북한의 핵개발 시인 후 벌어지고 있는 대치 상황을 외교적 방법으로 풀겠다는 조지 W. 부시 현 행정부의 결정을 지지한다면서, 현재 북한과 미국 모두 제네바 합의가 "파기됐다"고 보고 있지만, 이 합의는 일정한 구체적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한 근거로 이들은 제네바 합의가 없었다면, 북한은 영변 원자로를 통해 지금까지 50기 이상의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는 플루토늄을 생산했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데 주목했다. 이들은 이어 "엄청나고도 긴급한 위협"으로 여겨지는, 플루토늄 재처리를 통한 94년 핵개발과는 달리, 이번 경우는 핵무기 제조에 다소 시간이 걸리는 우라늄 농축을 통한 핵개발이라는 점을 들었다. 이에 따라 문제를 모든 점에서 충분히 검토할 시간이 있으며, 부시 행정부와 지역의 우방국들은 이를 위한 시간을 가질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고 이들은 덧붙였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kimy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