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는 일자리가 원천적으로 줄어드는 데 따른 `항구적해고'가 지난 1999∼2001년 3년동안 급증했다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노동통계청이 지난 1월 실시한 조사결과를 인용, 이 기간에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가 990만명으로 미 전체 노동인구의 7.8%에 이르렀으며 특히 이중 절반이 경기 침체국면이 심화됐던 지난 2001년에 집중적으로 해고됐다고 지적했다. 조사 당시 이들 가운데 재취업에 성공한 사람은 64.4%로 대부분 풀타임 직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2%는 실업상태에서 계속 일자리를 찾고 있는 반면 나머지 14%는 노동시장에서 완전 퇴출된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이 신문은설명했다. 재취업율 64.4%는 앞서 실시됐던 세차례의 조사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라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은 이처럼 해고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고용주들이 신규고용마저 줄여 노동시장에 대한 타격이 더욱 컸다고 말했다. 노동통계청의 지난달 조사에 따르면 작년 5월부터 금년 5월까지 1년사이에 80만개가 넘는 일자리가 사라졌으며 이는 거의 19%나 줄어든 것이라고 신문은 설명했다. 하버드 대학의 노동문제 전문가 로런스 카츠 연구원은 "해고되는 근로자가 많은상황에서 다시 구할 수 있는 일자리는 별로 없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공장폐쇄나 해당부서 폐지 등 `다운사이징'(조직축소)에 따른 항구적 해고는 고율성장속에 실업률이 25년래 최저수준을 기록했던 지난 1999년과 2000년에도 비일비재했었다고 상기시키면서 이에 비춰 미국의 직장에서는 이제 경기의 호불황에관계없이 항구적 해고 관행이 고착화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항구적 해고관행 고착화 현상은 결국 고용불안을 초래하고 이는 다시 임금수준을 끌어내리는 악순환을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를 반영해 1999∼2001년에 해고된 후 간신히 풀타임 직장을 잡은 근로자들의 평균 주급은 옛 직장의 609달러에서 571달러로 낮아졌다고 이 신문은 밝혔다. 신문은 또 노동통계청 조사에서 주목되는 점은 3년이상 한 직장에서 근무한 "장기근속자"의 해고가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고용주가 명예퇴직금 등을 주는 대신 조기퇴직을 수용토록 근로자들에게압력을 넣는 사례가 많아지는 등 다른 형태의 항구적 해고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신문은 아울러 정규직 근로자를 명퇴시키는 대신 계약직이나 임시직 근로자들을 채용하는 고용주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