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29일 북한 청소년과 노인 120만명에 대해 식량 배급 재개 방침을 밝히는 한편 각국으로부터 더 많은 원조를 촉구했다. WFP는 29일 발표한 유엔 식량농업기구 등과의 공동 보고서를 통해 "7월-10월 사이 북한에 38만2천톤 상당의 식량 부족분이 발생할 것이고 이 기간중 북한내 극빈지역 주민들은 '심각한 곤경'에 부닥칠 것"이라면서 추가 식량 지원을 촉구했다. 존 포웰 WFP 아시아 지역 담당관은 이날 "식량 배급을 재개하지만 약 한달 내로추가 지원을 받지 못한다면 배급은 다시 중단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곡물 13만톤을 추가 지원 받으면 12월 하순까지 북한주민 640만명이 허기를 면할 수 있지만만약 추가 지원분이 없다면 어린이와 노인에 대한 식량배급은 9월 하순에 끊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럴드 버크 WFP 대변인도 AP통신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영유아, 임산부, 수유부 등 최약자들에게 우선적으로 식량이 배급된다"고 밝히고 "하지만 해외 원조가 늘어나지 않고서는 현재 진행중인 유아, 수유부 420만명에 대한 배급도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재 북한 정부의 배급 체계에서 1천500만여명의 북한 주민들에 대한 1일배급량이 올들어 48% 늘어났지만 아직 1일 최소 필요량에는 훨씬 못미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90년대 중반, 자체적인 식량생산 체계가 사실상 붕괴돼 해외 원조에 의존하고 있는 북한은 최근 원조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분석가들은 이 현상이국제 사회의 관심이 다른 방향으로 전환했으며 아프가니스탄 재건 작업에 대외 원조가 집중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WFP는 이미 외국 지원 감소를 이유로 지난 5월 북한의 중등학생과 노인에 대한식량 배급을 중지했으며 이후 허기에 지친 북한인들은 풀이나 해초로 연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어 교사와 학생들도 먹거리를 찾아 학교를 빼먹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990년대 중반 이후 현재까지 약 2천500만명으로 추산되는 북한 인구 가운데 최대 200만명이 기아로 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베이징 AP=연합뉴스) ykhyun1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