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팀이 25일 독일에 0-1로 석패, 결승 진출이 좌절되자 AP, AFP, 영국 BBC 등 전세계 주요 언론들은 "한국팀의 기나긴 모험이 끝났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특히 아시아 언론들은 "아시아의 마지막 희망이 무너졌다"면서도 "한국이 세계에 준 충격과 아시아에 준 자극은 굉장한 것이었다"고 극찬했다. ○…AP통신은 "독일, 한국 꿈의 질주(South Korea's dream run)를 끝내다"라고 보도하면서 한국의 결승 진출 불발에 아쉬움을 표시했다. AP는 "서울 상암경기장이 온통 붉은 색으로 물든 가운데 독일팀이 이번 월드컵대회에서 무패 행진을 자랑해온 한국팀을 꺾고 통산 7번째 결승 진출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AFP통신도 "독일 발라크 선수가 한국의 놀라운 질주(astonishing run)에 제동을 걸었다"는 제목으로 한국의 결승 진출 좌절 소식을 전세계에 긴급 타전했다. 로이터통신은 "한국팀의 뜨거운 의지(will)와 국민들의 열정(passion)이 독일의 냉철한 결단력(cool determination)을 뚫지 못했다"고 촌평했다. ○…일본 니혼텔레비전은 "아시아의 마지막 희망이 무너졌다"고 아쉬워했다. 방송은 그러나 "한국 선수들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독일을 압박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보도했다. 해설자로 나온 오쿠데라 야스히코씨는 "히딩크의 모험은 일단 끝났으나 한국 축구가 아시아는 물론 세계에 던진 충격은 컸다"며 찬사를 보냈다. 그는 "한국과 일본이 지금까지는 아시아에서 겨뤄왔지만 이제 세계 무대로 도약할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졌다. 그러나 한국팀은 손색없는 경기를 보여줬고, 자랑스럽게 패했다. 유럽은 한국을, 그리고 아시아를 다시 생각하게 될 것이다." 중국 방송들은 한-독전을 생중계하면서 "한국팀은 비록 결승 진출에 실패했지만 월드컵 4강 진출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고 평가했다. CCTV 해설자는 "경기를 전반적으로 볼 때 한국의 결승 진출은 아직 이른 감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한국의 기량과 패기는 독일에 전혀 뒤지지 않았다"고 찬사를 보냈다. 그는 또 "아시아는 이제 한국이 이번 월드컵에서 보여준 힘 덕택에 유럽과 남미에 견줄 수 있는 축국 세력으로 등장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독전을 영국 전역에 생중계한 민영 ITV는 "한국의 4강 진출이 음모에 의한 것이라는 일부 주장은 쓰레기 같은 소리였다"며 "한국은 훌륭한 팀"이라고 평가했다. BBC도 "한국의 월드컵 오딧세이(긴 모험)가 끝났다"고 보도하고 "한국팀은 그러나 아시아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4강에 진출한 것만으로도 자부심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프랑스 TF1 TV는 "승승장구하던 한국의 행군이 아쉽게도 결승전을 눈앞에 두고 멈췄다"며 "그러나 한국은 새로운 축구 강국으로 확실한 자리매김을 했다"고 강조했다. 방송은 "한국이 비록 패했으나 독일을 맞아 훌륭한 경기를 보여 줬다"며 "이탈리아나 스페인도 인정해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RMC 라디오는 "한국의 진군이 독일전차 앞에 막혔지만 이번 대회에서 한국이 보여준 전력은 월드컵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의 예상치 못한 이변으로 이번 대회는 긴장과 서스펜스의 연속이었다"며 "한국의 진군이 멈춤에 따라 이젠 긴장감도 덜해진다"고 촌평했다. 프랑스 앵포 뉴스 전문 라디오는 "한국의 4강 진출은 축구 강호의 결승전 우승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네덜란드 2TV는 "한국은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심판 판정 시비의 피해자"라며 "이날 심판들은 이탈리아의 음모론에 연루되지 않기 위해 한국에 너무 경직된 자세를 보였다"고 지적했다. ○…한국 국민들은 월드컵 4강 진출을 계기로 경제.사회적으로 자신감을 되찾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가 24일 보도했다. 신문은 "월드컵 4강 진출의 최대 수확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자신감을 잃었던 한국 국민들의 자신감 회복"이라며 "거스 히딩크 감독이 무명의 젊은 선수들을 전격적으로 기용한 것은 한국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어 현대경제연구원 김주현 부원장의 말을 인용, "4강 진출은 한국의 낡은 시스템이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바뀌는 계기가 됐다"며 "올해는 한국의 경제.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이 대대적으로 변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고광철.도쿄=양승득.베이징=한우덕 특파원 g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