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와 자식의 얼굴 중 어느 부분이 닮아 보이는 것은 실제로 닮은 것이 아니라 부모-자식간이니 만큼 유전적으로 강한 연관이있을 것이라는 자가판단에서 나온 착시현상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이탈리아 파도바대학의 심리학 교수 파올라 브레산 박사는 심리학 전문지 '심리과학' 3월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자식의 턱이 아버지를 닮아보인다든가 눈이 어머니를 닮아보인든가 하는 것은 두 사람이 부모와 자식이니까 당연히 닮았을 것이라는 생각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 뿐이지 실제로 닮은 경우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브레산 박사는 부모와 자식은 서로 관계가 없는 사람들보다 닮은 데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런 경우는 별로 많지 않다고 말하고 실제로는 닮지 않았는데 제3자가 부모-자식의 특정 얼굴부분이 닮았다고 말하는 것은 의식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스로를 속이는 착시현상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브레산 박사는 3가지 실험을 통해 이같은 사실이 입증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일단의 남녀를 대상으로 아이들과 어른들의 사진을 각각 두장 씩 보여주면서 두 사람간의 관계를 사실대로 또는 거짓말로 부모-자식사이라고 말하거나 전혀아무런 정보를 주지 않은 3가지 조건에서 얼굴이 닮았는지의 여부를 물었다. 그 결과 두 사진의 얼굴이 닮게 보이게 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두 얼굴 주인공의 실질적인 유전관계와는 관계없이 보는 사람이 부모-자식간이라고 믿느냐 아니냐에 좌우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즉 보는 사람이 부모-자식간이라고 믿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얼굴들이더 닮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브레산 박사는 이러한 착시현상이 진화론적인 관념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고있다. 사회는 아버지가 자식을 기른다는 관념이 강하며 따라서 자식이 실제로는 자기자식이 아니더라도 일단 자기 자기자식이라고 믿으면 그것이 사실이라는 확신을 아버지에게 줄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브레산 박사는 지적했다. 이러한 자기기만은 사회에 유익할 수 있다고 브레산 박사는 덧붙였다. (뉴욕=연합뉴스) 강일중 특파원 kangfam@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