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ㆍ11테러 이후 미국과 유럽이 중요 국제 현안들에 대한 접근방법에서 서로 어긋나는 것은 자국에서 발생한 테러 경험이나 이를 다루는 방법이 상이한데 상당수 원인이 있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4일 보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유럽과 미국이 핵심정책 접근법에서 어긋나고 있다" 는 제목의 기사에서 부시 행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외교정책의 중심으로 삼은데 비해 유럽은 빈곤이나 질병, 환경악화와 같은 자신들이 테러리즘의 근본원인라고 여기는 폭넓은 것들에 정책의 중심을 두려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은 유럽연합(EU)의 저개발국 지원금은 1년에 300억달러로 미국의 3배에 달한다면서 9.11테러 직후 고든 브라운 영국 재무장관은 선진국의 지원액을 연간 1천억달러로 2배 늘리자고 제안했으나 폴 오닐 미 재무장관은 일축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 부시 대통령이 지난 1월 연두교서에서 `악의 축'과 테러리스트들의 대량살상무기 획득을 장시간 비난했으나 제3세계의 빈곤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은 데 아연실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이 기사의 요약이다. < 9ㆍ11테러 이후 애초에는 미국과 유럽의 사이가 더 긴밀해졌으나 사건 발생 6개월이 지난 지금 두 대륙 동맹국들은 핵심적 국제 현안들을 다루는데 있어 불화를 겪고 있다. 미국인들은 `새로 발견된' 취약점들을 붙잡고 씨름하는 반면 자국 내에서 발생하는 테러에 익숙해져 있는 많은 유럽인들은 지금은 계속 앞으로 나아갈 때라고 믿고 있다. 유럽인들은 북한이나 이란의 개혁파와 교섭을 계속하면서 이 두 나라와 이라크를 `악의 축'으로 보는 부시 대통령의 견해를 거부하고 있다. 중동지역에서도 부시 행정부는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의 입장을 따르면서 야세르 아라파트를 고립시키는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유럽인들은 중동평화 정착이 국제적 테러문제 해결에 긴요한 것으로 보며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지역 침공에 더 비판적이어야 하고 아라파트가 팔레스타인의 합법적 대변자로 남아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도 유럽인들은 9.11테러로 드러난 위협요인에 대해서는 어느 것보다 다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미국은 독자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같은 현격한 차이는 테러에 대한 경험이 서로 다르다는데서 기인한다. 유럽인에게 테러는 인생의 한 불행한 측면으로 간주되어왔다. 프랑스는 알제리 무장단체가 연루된 폭탄세례를 견디어 왔으며, 이탈리아는 붉은 여단으로 인해 고통을 겪었다. 독일의 경우 지난 1970년대 바더-마인호프의 테러를, 그리스에는 아직도 규모는 작지만 매우 위험스러운 '11월17일 그룹'이 활동하고 있다. 런던에 소재한 유럽개혁센터의 대니얼 키오헤인 연구원은 "유럽인들은 자신들을늘 취약하다고 느껴왔으나, 미국인들에게는 이것이 새로운 사태전개라는 점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인들에게 역시 테러의 교훈은 이에 맞서 싸워야 한다는 것이지만 근본원인들도 함께 다루어야 한다는 생각이 미국인과 다르다면서 "걸으면서 동시에 검을 씹을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비유했다. 유럽인들은 부시가 지난 1월 연두교서에서 악의 축과 테러리스틀의 대량살상무기 획득에 대해서는 길게 언급하면서도 제3세계의 빈곤에 대해 거론하지 않은 것에 아연실색했다. 이란과 관련해 유럽인들은 무역교류를 포함해 개혁파 및 중산층과의 관계 구축 등 포용정책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북한에 대해서 역시 경제활성화를 위해 섬유무역 규제를 완화했으며 북한 관리자들을 유럽으로 초청, 시장경제를 훈련시키고 직접보도록 할 계획이다. 이라크 문제에 대해서도 대부분 유럽 지도자들도 후세인을 위협이라고 보고 있으나 그를 축출하기 위해 군사공격을 하는 것보다는 유엔 무기 사찰팀을 수용토록 더 공격적으로 밀어붙이는 방안을 선호한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특파원 s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