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04:58
수정2006.04.02 05:00
미국 대학 관계자들은 부시 행정부의 이민법 강화 방침에 따라 학생 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하는 일부 학생들이 타격을 받을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지난 9.11 테러를 자행한 19명의 항공기 납치범 대부분이 이런 학생 비자 등 일상적으로 수백만명에게 발급되는 입국사증을 갖고 미국에 합법적으로 들어온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지난 1999년 미국은 3천140만명의 외국인에게 입국비자를 부여했으며, 1999-2000 학년도에는 51만4천여장의 비자가 미 학교에서 공부할 외국 학생들에게 발급됐다.
부시 대통령은 9.11 테러가 발생하자 개방 이민정책을 표명한지 몇달도 안돼 비자발급과 관련 위반자에 대한 강경 단속을 펴겠다고 밝히며 정책을 수정했다.
당초 부시 대통령은 미국에 불법체류중인 300만명의 멕시코 이민자들에게 합법적인 지위를 부여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이젠 비자 체류기간을 넘어서는 외국인들과 학생 등을 추적 대상에 올려 이들이 비자신청 목적대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확인할작정이다.
물론 미국 정부가 공정하게 이 정책을 적용한다면 별 문제는 없지만, 학생 비자를 신청한 외국인들에게는 학자금을 전액 지불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외국인 학생을 위한 비자 연장은 연장 목적을 직접 설명해야 하는 다른 외국인 방문객들에 비해 거의 '자동적으로' 이뤄져왔다고 미국이민개혁연맹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러나 9.11 테러범중 하나인 하니 한주르가 학생 비자로 입국했으나 수업은 거의 받지 않았다는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때문에 각 대학 관계자들은 부시 행정부가 테러와의 전쟁을 핑계로 외국인 학생들에게 불합리한 제도를 만드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표명하고 있다.
국제교육가협회의 한 관계자는 "많은 학생들이 그같은 방법이나, 교환 프로그램 등으로 미국에 와서 미국을 알게 됐다"면서 멕시코의 빈센테 폭스 대통령, 요르단의 압둘라 2세 국왕,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등이 그런 사람들이라고 소개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이런 장치를 버림으로써 세계의 차기 지도자들에게 미국에 대한 좋지 않은 인상을 주려고 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미 정부는 지난 수년간 외국인 학생 추적을 위한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왔으며 이를 위해 연방 이민 관리들은 각급 학교에 관련 기록을 요청하고 있다.
워싱턴 조지타운대학의 국제학생처장 케이시 벨로즈는 "학생비자 분야에서 아주 소수이긴 하겠지만 분명히 잘못된 사례가 나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국인 학생은 미국 재정 지원을 받을 자격이 되지 않아 학자금 전액을 내야 하기 때문에 상당수 대학에는 이들이 큰 재정원이 된다. 이런 상황에서 이민정책 변경으로 외국인이 내는 학자금이 미국인 학생들을 위해 제공하는 교육 기회가 박탈될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국제교육연구소의 앨런 굿맨 소장은 "우리가 마음과 문호를 닫는다면 발전할 수 있는 기회도 닫는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hongt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