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7일 지난 달 뉴욕과 워싱턴에 대한 테러공격에 따른 테러전쟁의 일환으로 미국과 영국군이 아프가니스탄 내 테러조직과 탈레반 정권의 군사력에 대한 공습과 미사일 공격을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전국에 TV 중계된 연설을 통해 "미군이 나의 명령에 따라 알-카에다 테러리스트 훈련캠프와 아프가니스탄 내 탈레반 정권의 군사시설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신중하게 목표를 선정한 이러한 공격은 아프가니스탄을 테러리스트의 활동기지로 이용하는 것을 와해시키고 탈레반 정권의 군사력을 공격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이 군사작전에는 영국군이 참여했으며 캐나다와 호주, 독일,프랑스 등 다른 동맹국들도 작전에 기여할 것을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끈기있게 성공을 쌓아가면서 이 전투를 승리로 이끌 것"이라면서"우리는 실패하지 않을 것이며 평화와 자유는 승리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는 아프간의 탈레반정권에 지난 달 11일의 오사마 빈 라덴 및 그의 테러조직'알-카에다' 지도자들의 신병 인도, 아프가니스탄 내 테러리스트 훈련캠프 전면폐쇄,억류 중인 미국인 등 외국인 석방 등을 요구했으나 탈레반 지도자들이 이를 거부했다고 지적하고 "이제 탈레반은 그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또 "오늘 우리는 아프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전쟁은 더 광범위하다"면서 "모든 국가들은 선택을 해야하며 이 전쟁에서 중립은 없다"고 강조하고"무법자와 무고한 양민 살해자를 후원하는 정부는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과 영국군의 이날 공격은 부시 대통령이 지난 주말 탈레반 정권에 대해 "시간이 끝나간다"고 경고하면서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탈레반측의 협상제의를 거부한후 시작된 것이다.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도 미국의 요청에 따라 영국의 미사일 장착 잠수함이 아프간 집권 탈레반의 군사시설과 테러캠프 공격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히고 영국의 전폭기들도 향후 수일 내에 작전에 합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NN방송은 아프간 현지 생방송을 통해 수도 카불에서 폭발음이 들리고 있으며 탈레반의 거점인 남부 칸다하르와 동부의 잘랄라바드의 공항들이 군사공격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CNN은 한 탈레반 관리의 말을 인용, 칸다하르의 공항에서는 지휘통제센터가 공격을 받아 주요 장비들이 파괴됐다고 전했다. 아프간 수도 카불의 주민들은 공격이 시작된 뒤 AFP와 전화통화에서 엄청난 폭발음이 여러 차례 들린 뒤 전기가 끊겼으며 이어 탈레반 군이 대포와 대공포 등을발사하는 소리가 들렸다"며 "마치 시가전이 벌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카불 상공에서 제트기가 나는 소리가 들리고 있다"며 "도시 전체가정전으로 암흑세계로 바뀐 가운데 폭발과 화염, 탈레반이 발사한 대공포와 조명탄이도시와 밤하늘을 밝히고 있다"고 전했다. 탈레반은 미국과 영국군의 공격이 시작된 뒤 `미국의 아프간 공격은 테러 행위'라고 비난하며 빈 라덴을 미국에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통신(AIP)이 보도했다. 또 파키스탄의 항구도시 카라치 주재 탈레반 총영사인 레흐마툴라 카카자다는 "미국이 아프간을 공격했기 때문에 우리는 지하드(성전)에 나설 준비가 돼 있다"며항전 결의를 밝혔다. 그는 "우리는 이번 공격을 비난한다"면서 "비행기가 카불을 공습했다는 소식을들었을 뿐 다른 내용은 아직 파악하지 못했다"며 "우리는 지하드에 나설 준비가 돼있다"고 말했다. 한편 러시아와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은 미국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 공습 개시사실을 사전 통보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러시아의 크렘린은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에게 아프간 공습이 개시되기 몇 분 전에 공습단행 계획을 통보해왔다고 밝혔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도 부시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로 공습 임박 사실을통보받았다고 밝히고 성명을 통해 아프간 내 테러리스트 목표를 향한 미국 주도의공격을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프랑스의 대통령궁도 부시 대통령이 공습사실을 사전 통보해왔다며 자크 시라크대통령이 곧 대국민 연설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연합뉴스) 신기섭 특파원 ksshin@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