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세계 60개국에 퍼져있는 국제 테러조직들을 상대로 전면전을 펼치더라도 징병제를 재도입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전망됐다. 미 ABC방송은 18일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 "현재 예비군 수만명이 복무 준비태세에 들어갔지만 베트남전이후로는 시행되지 않은 징병제를 전격 부활, 평범한 시민들까지 군복무에 끌어들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도했다. ABC뉴스 군사 분석가인 앤터니 코즈먼은 "징병제를 도입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지금은 2차대전때인 1940년이나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때와 다르다"고 말했다. 미군은 지난 4반세기동안 지원병제를 유지해왔으며 지난주 유례없는 미 심장부동시다발 테러 발생에도 불구하고 징병제를 부활시키지 않는데는 나름대로 여러 이유가 있다는 분석이다. 커트 캠벨 전(前)국방부차관보는 "징병제의 문제는 바로 단기복무제라는 점에 있다"며 "현대의 정교한 군사조직에서 군인이 자신의 업무를 이해하는데만도 2년은 족히 잡아야한다"고 지적했다. 캠벨은 이어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고도의 첨단 장비를 운용할 능력이 있는,정말로 잘 훈련된 직업군인"이라며 "징병제는 이같은 고급 인력들을 제공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군사전문가들이 징병제 도입 불필요의 근거로 내세우는 다른 이유는 미 국방부가 계획중인 이번 군사작전이 테러 조직에 대한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작전으로 50만명이상의 대규모 병력이 동원된 지난 1991년 걸프전과는 성격을 달리 하기 때문. 군사전문가들은 이번 대테러전쟁의 경우 미국이 주로 의존하는 무력수단은 공군및 해군력과 함께 100명이상 단위로는 좀처럼 작전을 수행하지 않는 특수부대일 것으로 보고있다. 브루킹스연구소의 국방전문가인 마이클 오핸런은 "설령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하는 대규모 지상전이 벌어진다 하더라도 현역군인들을 장기간 동원하는체제로 갈 것"이라며 "만약 2차대전후 독일이나 일본에 미 점령군이 주둔했던 것처럼 한 두나라를 수년간 점령해야할 상황이 온다면 징병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야겠지만 그럴 가능성은 기껏해야 몇 퍼센트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 특파원 yd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