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로 예정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방한은 손상된 한미 관계를 복원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국제 사회는 북한과의 인적 교류 확대에 관심을 더 기울여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됐다. 한미경제학회와 미국 미시간대학 경영대학원 공동 주최로 27일 워싱턴의 웨스틴그랜드호텔에서 개막된 북한 경제 관련 국제 학술대회에서 한반도 전문가들은 부시행정부 초기에 대북 정책을 너무 오래 검토하고 재래식 위협 감축을 협상 의제에 포함시키는 등의 잘못을 저질렀다는 데 대체로 견해의 일치를 보였다. 특히 유럽측 전문가들은 대북 포용에 더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해 관심을 끌었으며 대북 포용의 주도적 역할을 누가 맡느냐에 대해서는 한국, 중국, 국제기구 등으로 견해가 엇갈렸다. 워싱턴에 있는 조지 타운대학의 데이비드 스타인버그 아시아연구소장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햇볕정책에 대한 국내의 도전이 증대되면서 대북 포용 정책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미국이 남북 관계를 악화시켰다는 게 한국인들의 시각"이라고 지적하고 "부시 대통령의 방한은 손상된 한미 관계를 만회할 좋은 기회"라고 강조했다. 윌리엄 테일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 자문관은 부시 행정부가 대북 정책 검토를 지연시켰다고 비난하고 "미국의 대북 정책이 제 궤도로 복귀했으나 재래식 위협 문제를 협상 의제에 포함시킨 것은 잘못"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입장을 비공식적으로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본 조미(朝米)평화센터의 김명철(金明哲) 소장은 "북한은 자본주의를 추구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 미국이 북한의 자본주의 시험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보르제 룽그렌 스웨덴 외교부 국장(대사급)은 북한과의 인적 교류 확대를 통해 '인적 자본'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제안했다. 요아힘 아렌즈 독일 괴팅겐대학 교수는 북한은 각종 제도의 구축과 개혁과 변화에 대한 지도부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독일이 너무 빠른 통일로 많은 부작용이 초래된 점을 감안해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경제의 사유화보다는 경쟁 촉진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한국경제연구원(KEI)과 대서양위원회가 공동 후원한 이번 학술대회는 '세계에서의 북한 경제'를 주제로 한국, 미국, 독일, 스웨덴 등의 저명한 북한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한 비교적 규모 있는 행사로 28일까지 이틀동안 열린다. (워싱턴=연합뉴스) 이도선 특파원 yd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