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사와 같은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의 신용등급 평가는 한국과 같은 개도국들에 얼마나 영향력이 있나.

물론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다.

개도국들의 경제발전 단계나 경제여건에 따라 신용등급의 영향력은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신용등급을 올릴 때와 내릴 때도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아시아 외환위기를 토대로 볼 때 신용등급이 한 단계 떨어지면 한국과 같은 아시아국가들의 국채에 대한 가산금리는 0.2∼0.5%포인트 정도 상승한다.

그만큼 외자조달 금리와 기존의 외채에 대한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셈이다.

현재 우리나라 외채를 기준으로 할 때 최대 1조원 정도의 이자부담이 늘어난다.

물론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지면 자금조달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주가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

신용등급이 한 단계 떨어지면 주가는 약 3% 정도 하락한다.

만약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질 경우 주가하락 폭은 7% 정도로 확대된다.

현재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투기등급 상태에서 신용등급이 한 단계 떨어지면 무려 40%포인트, 시가총액으로는 13조원 정도가 떨어진다.

동시에 통화가치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무역수지와 같은 경상거래 요인보다도 국가신인도 변화 여부가 아시아 통화가치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해 오고 있다.

갈수록 개도국의 외환거래에서 자본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올 상반기 원화가치 결정요인의 약 85%가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의 향방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는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이 신용등급을 조정하면 통화가치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아시아국가들은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내리면 투자적격 단계에서는 미국 달러화에 대한 통화가치가 약 2% 정도, 투기등급에서는 5∼8%가 떨어졌다.

현재 원화 가치를 기준으로 할 경우 투기등급 상태에서는 최대 90원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만약 한 나라의 통화가치가 한순간 이렇게 큰 폭으로 하락할 경우 ''통화가치 급락→환차손 발생→외자 이탈→통화가치 추가하락''이라는 악순환이 발생하면서 최종 순간에는 외환위기에 몰릴 수밖에 없다.

결국 이러한 막대한 영향력 때문에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의 신용등급 평가에 대부분 국가나 기관들이 무릎을 꿇을 수밖에 없고, 현 시점에서도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이 어떻게 신용등급을 매기는지 예의 주시하고 있는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