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사특약 독점전재 ]

< Looking to join the caravan June 13, Economist >

이달말일께 북아프리카에 있는 나라인 모로코의 카사블랑카증권거래소가
"증권 캐러밴"이라는 대대적인 캠페인을 개시한다.

카사블랑카거래소 사람들은 지브롤터해협에 인접한 역사적인 도시인
탕헤르에서 출발해 전국 일주를 감행할 계획이다.

이 캐러밴의 목적은 기업인을 상대로 증시 상장의 잇점을 널리 홍보함으로써
자본시장을 활성화시켜 보자는 것.

북아프리카지역 국가들은 저성장 경제구조에서 탈출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북아프리카에서도 이집트 모로코 튀니지등 3국의 정부관리들은 경제성장을
위해서라면 정책을 가리지 않겠다는 식으로 달려들고 있다.

이들 3국의 관리들은 요즘 입만 열면 시장경제와 외자유치를 강조한다.

경제예측기관들은 이들 나라가 연간 7-8%의 경제성장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장미빛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미국의 큰 손인 조지 소로스가 이 지역경제를 낙관하고 지역증시에 수억
달러를 넣었다는 얘기도 있다.

사실 지난70년대 이집트 모로코 튀니지등 북아프리카국 주요국은 "선진국의
꿈"에 흠뻑 젖었던 적이 있었다.

이 당시에 고도의 경제성장을 만끽했다.

그렇지만 80년대로 넘어오면서 경제상황이 급속하게 악화됐다.

정부의 재정적자는 엄청나게 늘어났고 인플레가 기승을 부렸다.

이집트와 모로코및 튀니지등 3개국이 경제에 대한 정부의 개입폭을 확대한
것이 경제를 망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런 실패의 교훈으로 이들 북아프리카 정부는 요즘 시장경제를 거듭
강조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집트와 모로코는 각각 재정적자를 국내총생산(GDP)의 1%와 3% 수준으로
줄였으며 물가상승심리를 잡았다.

수입관세율을 대폭 인하해 기업인들로 하여금 정신을 바짝 차리도록 만드는
충격요법도 쓰고 있다.

북아프리카 지역경제에 자유의 바람이 불고 있다는 징후가 여러 측면에서
감지되고 있다.

징후중 한 가지는 고급브랜드인 구치 옷으로 잘 차려입고 휴대폰으로
통화하면서 거리를 활보하는 신세대 사업가들이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들은 뉴욕이나 런던 등지에서 금융기법을 배운 전문가들이다.

이집트의 알라딘 사바(36)는 미국에서 MBA(경영학석사)를 취득하고
월스트리트에서 활동하다 지난 91년에 귀국했다.

그가 귀국했을때 카이로는 변혁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었다.

금리와 외환시장 자유화가 추진되는 가운데 민영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됐다.

알라딘 사바는 "너무나 많은 비전문가들이 금융개혁과 민영화를 추진하며
새 경쟁금융체제에서 일하는 것을 목격하고 자신감을 얻었다"고 귀국당시의
상황을 묘사했다.

이집트 등지에서 민영화가 추진되면서 자본시장 활성화가 급선무로 등장
했다.

튀니스와 카사블랑카거래소는 수작업거래방식을 청산하고 전산거래 시스템
을 도입했다.

카사블랑카의 경우엔 금년말쯤에 대체결제가 원활하도록 중앙예탁원을
설립할 방침이다.

세계은행(IBRD)의 자매기구인 국제금융공사(IFC)에 따르면 지난해의
국가별 주식시장 투자수익에서 이집트와 모로코가 나란히 14위및 15위에
랭크됐다.

급등행진을 벌여온 이집트와 모로코 주식시장은 올들어 조정양상을 보이다
다시 상승세를 탈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또 IFC는 올 가을부터 카이로와 카사블랑카 거래소가 사용하는 주가지수를
IFC의 이머징마켓 국제주가지수 산정에 변수로 포함시킬 예정이다.

그러나 이집트와 모로코및 튀니지의 미래가 장미빛으로 가득한 것만은
결코 아니다.

문제점을 살펴보면 이들 나라의 선진국 꿈을 아직도 요원한 "꿈"처럼
비춰지고 있다.

먼저 이들 나라의 개혁작업이 경제부문에만 한정돼 있어 발전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부패한 공무원이 늘려 있는 현실이 국민들에게 좌절감을 주고 있다.

문맹률이 높다는 것도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이집트와 모로코의 성인들 가운데 절반정도가 읽지도 쓰지도 못한다.

이와함께 정치에 대한 우려감을 떨쳐버릴 수 없다는 점이 외국인투자자들을
꺼림칙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들 북아프리카국들이 최근들어 시장경제와 외자유치로 경제대국
으로 부상하겠다고 뛰고는 있지만 정치.사회적인 걸림돌로 인해 경제성장
속도가 그리 빠르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정리=양홍모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