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술능력, 일본의 13분의 1 수준 .. 일본 과기청 조사
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산업수준은 아직도 일본수준에 크게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과학기술청이 최근 발표한 동아시아의 산업기술에 관한 동향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기술개발능력의 경우 미국을 100으로 했을때 일본은 90.28
을 기록한 반면 한국은 7.23 대만은 9.19에 각각 머물렀다.
또 연구개발의 성과지표(기술수출액및 해외특허건수, 미국 100)에서도
일본은 129.43에 달했으나 한국은 2.00 대만은 2.85에 불과했다.
이에따라 한국은 전체 기술면에서 일본에 크게 뒤지고 있을 뿐아니라 대만
수준도 밑도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는 지난 92년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지만 현재의 기술개발능력을
비교하더라도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일본과학기술청은 진단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한국등 동아시아국가들의 전반적인 산업수준은 해외에서
도입한 조립기술및 기계조작기술을 흡수한 단계에 불과한데다 핵심부품과
생산설비도 대일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일본의 기술우위는 전혀 흔들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보고서가 분석한 주요산업의 기술수준은 다음과 같다.
<>공작기계:한국 대만 싱가포르 중국등 4개국은 조립기술및 실용기술의
흡수축적에 노력하는 한편 학술연구도 강화해 기술향상이 현저하다.
다만 일본을 추월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설계능력을 구비하고
아프터서비스체제및 시장개척능력등을 정비해야 한다.
<>정보기기(PC):한국은 데스크탑PC의 조립기술수준은 일본과 같지만 노트북
PC는 일본에 못미치며 소프트디자인 능력도 결여돼 있다.
대만은 디자인기술은 우수하지만 핵심기술의 수입의존도가 높다.
<>반도체:한국 대만 양국은 메모리사업에서는 제품.생산기술 모두 일본과
같은 수준이며 한국의 경우 일부제품에서 일본을 앞서기도 한다.
그러나 4기가D램이상 비메모리영역에서는 일본과의 격차가 아직도 대단히
크다.
양국은 차세대반도체기술을 확보키 위한 기초연구가 결여돼 있고 주변산업
의 부족 제조장치및 재료의 수입의존등이 고도화를 저해하고 있다.
<>브라운관(CRT):한국의 CRT는 중형이하는 개발능력 생산기술 모두 일본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그러나 대형및 HDTV용 CPT(컬러픽쳐튜브) 대형CDT(컬러디스플레이튜브)에서
는 일본에 3-5년 뒤져 있다.
<>프린트기판(PWB):한국 대만에서는 대기업이 중심이 돼 생산하고 있으나
전업화가 이뤄지지 않아 전공정이 내제화돼 있다.
한국은 첨단양산기술의 일본의존 대만은 주공정의 인라인화 지연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석유화학산업(에틸렌 합성수지):한국과 중국은 기술혁신에 의한 신생산
공정의 개발 범용수지의 고기능화 에너지이용효율의 향상등이 대만의
경우는 양산효과추구등이 과제다.
< 도쿄=이봉구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6일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