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이 북한의 정전협정파기기도와 관련,정전체제 지지입장을
공식화해 외교적 압박을 가한데 이어 미국과 러시아가 대북 회유및 설
득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클린턴미행정부는 북한의 비무장지대 중무장병력투입중지에 대해 긍
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한반도의 긴장 진정을 시도하는 한편 46년동안
취해온 대북금수조치(엠바고)를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린 데이비스국무부대변인은 "우리는 북한측이 정전협정을 계속 준수
하고 또다시 대규모병력을 비무장지대에 보내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
했다.

국무부 북동아시아 정보연구국의 로버트 칼린 국장은 북한의 무력시위
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50년이래 취해온 대북금수조치의 처리 및 해제문
제를 끊임없이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도 10일 북한이 무력도발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알렉산드르
파노프외무차관을 평양에 급파했다고 밝혔다.

비탈리 이그나텐코부총리를 단장으로 하는 러시아무역대표단도 10일부터
이틀간 평양에서 열리는 제1차 러.북경제과학기술협력위원회 회의에 참석
하기 위해 지난 9일 출국,북한고위층과 한반도사태에 관련한 대화여부가
주목된다.

파노프차관은 인테르팍스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반도신뢰구축을 위한
국제회의개최방안을 북한측에 타진할 것"이라며 "국제회의소집이야말로
(한반도평화체제 구축을 위한)가장 좋은 방안이다"고 말했다.

이같은 미국과 러시아의 움직임은 한국측이 대북설득에 나서줄 것을 요
청한데다 북한이 한반도사태를 분쟁상황으로 몰고갈 경우 군사적 재앙에
빠질 것을 우려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4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