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후안무치한 사람들이다.

과거사를 사과하기는 커녕 또한번 아시아인들을 능멸했다는 강한 불쾌감을
지울수 없다.

전후50년결의채택과 관련해 나타난 일본국회의 일련의 움직임들은 정말
한심하고 조잡하기 이를데 없다.

결의의 내용이 그렇고 채택과정도 그렇다.

침략전쟁도 아니고 침략행위도 아닌 "침략적 행위"란 이상한 용어를
만들어냈다.

"반성의 념"은 있지만 사죄는 없다.

실제반성은 않으면서도 반성하고 있는듯한 인상을 주기위해 애매모호한
표현을 총동원한 결의다.

그같은 결의안도 재적국회의원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찬성으로 채택돼
무게가 전혀 없다.

대표적야당인 신진당은 내용에 대한 견해가 다르다는 이유로 출석조차
하지 않았다.

국회결의안이 반성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정쟁의 도구로 이용되었을 뿐
이라는 이야기다.

이번 결의과정에서 진솔한 면을 보여준 곳은 내용의 미진함을 들어 결의에
반대한 일본공산당이다.

공산당은 결의후의 기자회견에서 "결의내용은 일본이 다른 열강들도 하던
일을 했을 뿐이라며 침략전쟁을 합리화하는 폭거"라고 지적하고 출석치 않은
신진당도 침략전쟁의 합리화에 동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본내에서조차 이처럼 비판을 받고있는 내용을 아시아인들이 받아들여
줄리는 만무하다.

일본국회가 전후 50년결의를 추진한 배경은 일본의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는
과거사문제를 명확히 해결해 앞으로의 운신의 폭을 넓히자는 것이었다.

경제대국으로서의 위상에 걸맞는 지도국위치를 확보해보자는 속셈이 깔려
있었다.

그러나 일본은 이번과정을 통해 의도와는 정반대로 지도국으로서의 자질이
없다는 사실을 다시한번 온세계에 확인시켜 주었을 뿐이다.

일본은 역사를 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지도국으로서의 첫걸음임을 알지
못한다.

자신의 조그만 아픔은 알아도 다른 나라의 큰 아픔은 이해하지 못한다.

외상까지 지낸 정치인이 전후50년이 지나도 망언을 쏟아내는 나라에 확실
하고 결연한 결의를 기대하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한 일이었던 셈이다.

그런점에서 일본은 아직도 왜소한 섬나라에 불과하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