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모두 리엔지니어링을 하는데 대학이 가만있을 수 있느냐며 MBA과정
을 리엔지니어링대상으로 삼고있는 컬럼비아의 뉴욕대학이야 한국에도 잘
알려졌지만 그에 못지않게 뉴욕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또하나의 대학이
FIT(Fashion Institute)다.

공교롭게도 최근에 한인상가(Korean Trade Avenue)로 공식 명명된 맨해턴
의 한국도매상가와 붙어있어 이곳의 한국인들에게는 친숙한 곳인데 꽤
많은 한국의 젊은이들이 오래전부터 이 학교를 찾아 오고있다.

올해로 50주년을 맞는 FIT는 한국식으로하면 전문대학에 해당한다.

2차대전의 전화를 피해 유럽에서 온 유태인 중심의 피난민들을 교육,
훈련시켜 직장을 얻게하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

양복재단과 봉제,직조,세탁등등의 기술을 배워 당장의 생계를 해결하고
생활의 바탕을 이룰수 있게 하기 위해 유태인들이 추렴해서 세운 학교다.

이곳을 거쳐간 사람들은 실제로 훌륭한 장인들이 되었을 뿐 아니라
그들의 모교와 사회를위해 더 큰 일을 해냈다.

FIT는 이제 주립대학의 하나로 재학생 1만2천여명의 큰 대학이
되었지만 그렇다고 보통의 흔한 대학의 하나가 되어버린 것은 아니다.

예술적 소양이 있는 한국인들에게는 디자인 학교로, 어떤이들에게는
섬유패턴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FIT의 장점은 철저히 현실에 적합한
교육을 펼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모피산업이 쇠퇴하자 모피코스를 4년전에 폐쇄했고 업계의
수요가 늘어나자 집안 장식 코스를 새로 개설한 것등이 이를 잘보여준다.

FIT의 건물은 뉴욕의 패션 스트리트,연간 1백70억달러규모의 미국섬유
및 의류산업 중심지안에 자리잡고 있다.

학생들은 봉제공장을 제집 드나들듯 하고 미국 최첨단의 패션을 호흡
하며 생활을 한다.

대학후원회장과 이사들은 거의가 큰 섬유의류업체의 최고경영자들이고
장사 잘하는 가게주인,유행품을 만들어낸 사람은 곧바로 특강교수로
초빙된다.

장사가 잘되지않는 상점의 주인이 들어가 재활훈련(?)을 받는 것은
흔한일이고 그 효과도 정평이 날 정도다.

그렇다고 수업료도 비싸지 않아서 한달 아파트세 정도면 된다.

이곳의 한 유명한 백화점은 전문지식을 갖춘 패션상품구매자확보에
아쉬움을 느껴 FIT에 해당과정을 개설하는데 도움을 준뒤 데려다(?)
쓰기도 했는데 이게 요즘은 골치거리로 등장했다.

유통업계의 대형화,중앙집권화 현상이 생기면서 구매자의 권한이
줄어들게 됐고 자연스럽게 지원자도 줄어들고있다.

이 과정이 사라지게될 운명에 처해있는 것이다.

이처럼 시장현실을 예민하게 교과과정에 반영하고 있는 이 학교가 요즘
새로 시작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새 과정들을 보자.

<>신속반 : 전자자료교환센터,소매상과 제조업체간의 여러가지 자료를
즉각 교환활용하는장치

<>향수 스튜디오 : 세계 최초의 향수 개발 실험및 판매 연구소

<>생존 코스 : 디자이너의 생존을 위한 경영,제조및 개업전략 연구실습

<>국제 시장개발 프로그램 : 국제교역 훈련 실습.

<>외국어 교습 : 영어이외의 외국어 교육.

<>기업 인큐베이터 : 개업후 자립하기까지의 상품개발과 테스트등에
따른 후원

<>박물관 운영 : 현재 2백가지 폐품의 재활방안 제작, 전시중

이런 학교니까 대개 90%의 취직율을 자랑하는데 칼빈 클라인 같은
디자이너가 모두 될수는 없으나 월마트같은 일류 연쇄점의 매니저가
될수있다.

학교관계자들은 대개 연쇄점, 전자식 소매업계 분야를 유망학과로
추천하고 있다.

미국의 대 디자이너들이 된 선배들이 어쩌다 특강을 위해 FIT에
들렀다가는 깜짝 놀란다.

영감만 쫓던 자신의 세대와는 달리 요즘 학생들의 관심은 딴판이기 때문.
이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있는 것은 어느나라의 의류제조 수법이 가장
수지가 맞느냐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