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이 세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좌우하는
열쇠로 떠오르고 있다.

지구를 폭발적인 인구급증에서 구해내기 위한 최선의 처방은 낙태도,
피임도, 부의 균형배분도 아닌 ''여성의 지위향상''이라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다.

인구급증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5일 개막된 카이로 국제인구
개발회의에서는 "여성의 지위향상"이 주요의제로 등장, 산아제한을 둘러싼
종교 대 비종교세계간 첨예한 감정대립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
하고 있다.

현재 세계인구는 약 57억명.

매년 멕시코 인구만큼(8천6백만명)이 늘어나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인구억제 정책이 멕시코나 자마이카처럼 성공한다
하더라도 2080년에는 1백억1천만명에 달할 전망이다.

그러나 파라과이나 스리랑카처럼 인구억제정책이 전혀 효과를 거두지
못하게 된다면 22세기 말에는 2백30억명이라는 엄청난 숫자로 불어나게
된다.

산아제한 찬성론자들은 이같은 폭발적 인구증가가 결국 인류를 가난과
환경파괴로 몰아 넣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인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피임이나 낙태허용등을 통한 가족계획을
적극적으로 벌여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현재의 인구증가가 인류를 파멸에 빠뜨릴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반론도 만만찮다.

마니토바대학의 지리학자인 바클라프 스밀씨는 특히 식량에 관한한 절대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바클라프씨의 연구에 따르면 현재의 기술발전속도만으로도 지금보다
30억명정도는 더 먹여 살릴 수 있다.

여기에 경작지및 생산증가, 농업기술변화등을 감안하면 2050년까지는 20억~
25억명정도의 추가인구부양이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단순한 인구증가만으로 세계가 르완다 같은 절대 기아상태에 빠지지는
않는다는얘기다.

산아제한 반대론자들은 인구증가가 환경파괴를 가속화시킬 것이라는 경고도
전혀 설득력이 없다고 일축한다.

가령 1천에이커당 1백70명이 살고 있는 브라질에서는 아마존에 대한 파괴가
자행되고 있는 반면 브라질의 26배가 넘는 인구를 가진 네덜란드(1천
에이커당 4천5백명)는 자연보호구역이 전국토의 10%에 이를 정도로 환경
보전이 잘 되고 있다.

결국 전세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할 우선과제는 발전의 균형
배분이지 무리한 산아제한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후진국에까지 발전의 혜택을 골고루 가져다 주는 길은 무엇일까.

"여성의 지위향상"에서 해답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교육을 통해 여성의 의식을 높인다면 자연스런 산아제한의 효과와 함께
여성인력 활용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까지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여성들에게 교육의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든다.

후진국에서 성차별을 제거하는데 드는 총 비용은 GDP의 0.25%에 이를
것으로 세계은행은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 투자 이상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출산율을 줄일 수 있다.

교육의 정도와 출산율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초등이하의 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평균 7명의 자녀를
낳는다.

반면 중등교육을 받은 여성이 전체의 40%만돼도 여성 1인당 출산율은 3명
으로 떨어진다.

1~2년 터울로 계속되는 출산때문에 초래되는 산모와 아기의 건강악화도
막을수 있다.

이는 국가의 보건비 삭감이라는 효과로 이어진다.

지적인 어머니 밑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자녀는 고급인력으로 사회에
배출된다.

여성들 자체가 교육을 밑천으로 산업인력에 투입될 수도 있다.

교육 받은 여성들은 그저 밭일이나 물긷는 일보다는 좀더 효율적인 일에
참여, 국가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여성의 교육확대에 따른 효과는 선진국에도 적용된다.

미국 영국등 구미선진국에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미혼모들은
대개 교육수준이 낮은 10대들이다.

이들은 괜찮은 직업을 구할 가능성이 없고 따라서 양육비를 감당할수 없기
때문에 아이들을 버리게 된다.

<노혜령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