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산정권의 출현 기반은 "수탈당하던 농민"이었다.

따라서 중국지도부가 농촌과 농민문제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올려놓고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중국인구의 80%이상을 차지하는 농민이야말로 국기및 정권안보와
직결된다"고 지적한 유장희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이들을 배불리 먹이고
기본적인 소비생활을 할수있도록 만드는 것이야말로 중국 성층권이 관심을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개혁개방의 후유증으로 도농간의 소득격차는 날로 벌어지고 있으며
이에따라 농민들의 "상대적 빈곤감"은 날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작년말 전국 평균소득을 100으로 볼때 상해와 북경이 각각 438과 277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내륙지역인 귀주가 53인것을 비롯 운남60 광서60
사천69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상해시민이 귀주인들보다 무려
8배이상이나 소득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소득격차는 중국 농민들로 하여금 힘든 농사일을 버리고 도시로 나가 쉬운
돈벌이를 꿈꾸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그들이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것은 현행 호적관리규정상 주거이전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도시주민과 농촌주민의 호적구별은 명확해서 식량배급 취업 어린이
학교교육등 주민의 기초적 생활이 이 호적에 의해 관리된다. 다시말해
도시호적을 갖지않은 사람이 도시로 이주해갈 경우 식량배급을 받을수 없는
것은 물론 어린이를 학교에 보낼수도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경 상해 심 광주등 도회지로 밀려드는 이른바
맹유현상은 개혁개방이후 도회지가 제공하는 "기회"를 찾아 이동하는
"빈농의 물결"이라고 볼수 있다.

정확한 통계인지는 확인할길 없으나 원래 인구 50만명의 광주에 10명중
4명은 무작정 상경한 맹유족이라는 분석이다. 역앞이나 거리에 진을 친
이들의 불결한 위생상태는 많은 질병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을뿐 아니라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에게 개혁개방의 후유증을 물으면 "모든 문제는 도농문제의
아류로 해석될수 있다"고 대답한다.

호텔식당에서 만난 한 학자풍의 중국인은 "맹유가 농민들의 도시지향
현상의 결과라고 보면 틀림없을 뿐아니라 마약 매춘 조직범죄등 모든 사회
문제도 결국은 급격히 밀려드는 농촌인구를 기존의 도시가 충분히 수용할수
없기 때문에 빚어지는 현상으로 볼수 있다"고 설명했다.

흔히 거론되는 지방분권주의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던지면 중국인들은 "무슨 뚱딴지 같은 질문이냐"는 반응을 보인다.

중국여행중 이것 저것 도와준 경제일보 외사처의 염여사는 "그동안 홍콩과
대만이 독립국가의 형태로 존속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중국인들은
이들이 "그저 중국의 일부일뿐"이라고 생각해온 정도인데 하물며 경제가
조금 발전했다는 상해나 광동성 또는 민족문제와 연계된 티벳의 지방분권
주의가 무슨 문제거리가 되겠느냐"고 반문할 정도다.

중국지도부가 농촌과 농민문제를 모든 문제의 시발점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그 돌파구를 위한 선택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중국은 현실적으로 개혁개방을 성공으로 이끌기위해 농업보다는 공업
발전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을수 없는 것이다. 결국 농민문제는 구조적
의제이고 따라서 중국경제가 어느정도 궤도에 올라가기까지는 농민들의
희생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이는 상당기간 중국 농민의 인내를 시험대 위에 올려 놓게 될것이고 인내
의 시험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그 폭발가능성은 그만큼 커진다고
말하지 않을수 없다. 여기에 중국지도부의 가장 큰 고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