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제품 발표하면서 '메이트 프로 60' 언급 안해…누리꾼들 '불만'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25일 신제품 발표회를 열고서도 관심이 집중된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프로 60'의 성능에 대해선 함구하면서 중국 누리꾼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 나왔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중국 선전에서 열린 화웨이의 신제품 발표회는 화웨이가 지난달 말 깜짝 출시한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의 사양과 성능에 대해 공개할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러나 수백만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온라인으로 생중계된 행사에서 화웨이는 '메이트 프로 60'에 대해선 입을 꾹 다물었고 행사를 지켜본 이들 사이에서는 실망이 터져 나왔다.
행사 종료 후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는 "화웨이가 기자회견에서 스마트폰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화제가 퍼져나가면서 순식간에 800만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한 웨이보 누리꾼은 "왜 그들은 그것(스마트폰)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가? 모두가 그 스마트폰 때문에 그 행사를 지켜봤다"고 썼다.
2시간 동안 진행된 행사에서 화웨이는 골드 스마트와치부터 스마트카까지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였지만 궁금증이 쏠린 '메이트 60 프로'에 대해서는 해당 제품의 인기에 대한 감사의 인사만을 전했다.
위청둥 화웨이 최고경영자(CEO)가 모두 발언에서 "특히 '메이트 60 프로' 출시 후 나라 전체가 엄청난 지지를 보내주신 것에 특별한 감사를 표한다"고 인사하자 방청석에서는 열광적인 반응이 나왔다.
그러나 이후에는 더 이상 언급이 없자 생중계 인터넷 댓글창에는 도대체 언제 '메이트 60 프로'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냐는 질문이
"차이나 르네상스 비리 수사와 관련된 듯" 보도
일본 노무라그룹의 홍콩 현지법인인 노무라 인터내셔널 고위 임원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출국금지 조처됐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5일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FT는 관련 사정에 밝은 관계자를 인용, 노무라 인터내셔널의 중국 지역 투자은행(IB) 부문 회장 찰스 왕(왕중허)이 출국금지됐다고 전했다.
다만, 당국에 체포된 상태는 아니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조처는 작년부터 진행 중인 중국 투자은행(IB) 차이나 르네상스(華興資本) 비리 수사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중국공상은행 계열사인 ICBC 인터내셔널 홀딩스가 2017년 차이나 르네상스에 2억 달러(약 2천600억원) 규모의 신용대출을 해주는 과정에서 부정부패가 있었는지 살펴왔다.
당시 ICBC 인터내셔널 홀딩스 대표였던 충린(叢林)은 그 직후 차이나 르네상스의 홍콩 증권 자회사로 자리를 옮겨 사장직을 맡았는데, 이번에 출국금지된 왕 회장은 2018년 노무라 입사 이전까지 ICBC 인터내셔널 홀딩스에서 부사장으로 충린을 보좌했다고 한다.
충린은 1년 전 중국 증권규제 당국에 소환된 직후 구금됐다.
중국 당국은 차이나 르네상스의 바오판 회장도 구금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라그룹 측은 이러한 보도와 관련한 질의에 답변을 거부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언급한 사항에 대해 아는 게 없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연합뉴스
곡물 저장시설 파괴·항만도 파손…흑해서 교전 격화
러시아가 오데사 등 우크라이나 남부 항만 지역을 공습했다고 2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율리아 시브리덴코 우크라이나 경제부 장관은 이날 "오데사에 또다시 대규모 공격이 가해졌다"며 "이로 인해 곡물 저장시설이 파괴되고 항만이 크게 손상됐다"고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올레 키퍼 오데사 주지사는 파괴된 곡물 저장시설에 1천t가량의 곡물이 저장돼 있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남부군 사령부는 "오데사 항만이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며 항만 인근의 비어 있는 호텔에서도 화재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부에 따르면 오데사주의 전력망이 공격을 받아 1천 명 이상이 정전을 겪었으며, 여성 1명이 파편에 맞아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와 별도로 남부 헤르손주의 베리슬라우에서는 러시아의 공습으로 최소 1명이 사망했다고 올렉산드르 프로쿠딘 헤르손 주지사가 밝혔다.
우크라이나군은 밤사이 이란제 샤헤드 드론 19기와 순항 미사일 11기를 요격했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러시아가 대부분 오데사 지역을 겨냥해 이들 무기를 발사했으며, 곡물 저장시설 파괴를 위해 극초음속 미사일 2발을 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이번 공격이 지난 22일 러시아 흑해함대 본부를 겨냥한 우크라이나의 공격에 대한 "안쓰러운 보복 시도"라고 밝혔다.
지난 22일 크림반도 세바스토폴에서는 러시아 흑해함대 본부가 우크라이나가 발사한 미사일을 맞아 크게 파괴됐다.
러시아는 군인 1명이 실종됐다고 밝혔으나, 우크라이나는 고위 지휘관 1명이 숨지는 등 수십 명이 사상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