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치플레이의 묘미는 ‘이변’이다. 매치플레이는 자신의 경기에만 집중하면 되는 스트로크 방식과 다르다. 18홀을 모두 돌고 난 결과로 승부를 결정하지 않는다. 홀마다 승패를 따진다. 무조건 상대방보다 잘해야 한다. 버디를 잡아도 상대방이 이글을 하면 그 홀에서 패배한다. 한번 주도권을 잃으면 만회할 기회가 자주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잠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기량뿐만 아니라 정신력, 심리전 등 여러 변수가 작용하기에 ‘다크호스’가 자주 등장한다.‘이변 공장’으로 불리는 매치플레이를 내년부터는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에서 볼 수 없게 됐다. 투어의 유일한 매치플레이 대회인 WGC 델 테크놀로지스 매치플레이(총상금 2000만달러)가 27일(한국시간) 결승전을 마지막으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날 우승컵을 들어올린 샘 번스(27·미국)는 마지막 ‘매치킹’으로 남게 됐다.미국 텍사스 오스틴의 오스틴CC(파71·7108야드)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번스는 두 번의 라운드에서 매치플레이의 매력을 그대로 보여줬다. 세계랭킹 15위인 번스는 준결승전에서 세계랭킹 1위이자 디펜딩 챔피언 스코티 셰플러(27·미국)를 만났다. 이 둘은 PGA투어에서 절친으로 유명하다. 투어를 다닐 때 같은 숙소를 쓰고 부부 동반 모임도 자주 한다.하지만 우승자만 살아남는 외나무다리 앞에서는 “친구지만 승부에선 양보가 없다”며 승부욕을 불태웠다. 실제로 이들은 준결승전에서 만나 피말리는 접전을 펼쳤다. 경기가 3차 연장전까지 이어졌다. 선두를 뺏고 뺏기는 승부를 이어가다 18번홀(파4)에서 셰플러가 버디를 잡으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2023시즌 퀄리파잉 시리즈를 수석으로 통과한 유해란(22·사진)이 데뷔 경기부터 ‘톱10’에 이름을 올렸다.유해란은 27일(한국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골드캐니언의 슈퍼스티션 마운틴 골프앤드CC(파72·6526야드)에서 열린 LPGA투어 드라이브온 챔피언십에서 최종합계 16언더파 272타를 기록해 공동 7위를 차지했다.그는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투어에서 5승을 올린 뒤 지난해 12월 LPGA투어 퀄리파잉 시리즈에 도전해 1위에 올라 ‘풀시드’를 따냈고 이번주 데뷔전을 치렀다. 유해란은 “데뷔전 마지막 날 챔피언조에서 경기할 수 있었다는 것 자체가 매우 잘했다고 생각한다”며 “첫 대회에서 톱10에 들었으니 어느 정도 가능성을 봤고, 다음엔 더 성장한 모습을 보이겠다”고 말했다.유해란은 3라운드에서만 8언더파를 몰아쳐 최종 라운드를 앞두고 선두에 한 타 차 공동 2위까지 도약했다. 챔피언조에서 경기하며 내심 역전 우승까지 바라봤으나 한 타를 줄이는 데 그쳤다.한국 선수 중에선 투어 2년 차 안나린(27)이 최종합계 18언더파 270타 단독 4위로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올 시즌 첫 톱10 성적이다. 이날 보기 없이 5타를 줄인 덕을 봤다.이달 초 HSBC 위민스 월드 챔피언십에 이어 2개 대회 연속 우승에 도전했던 고진영(28)은 17언더파 271타 공동 5위를 기록했다. 올 시즌 출전한 3개 대회에서 모두 톱10에 진입했다. 12번홀(파3)까지 4타를 줄여 우승 후보로 떠올랐으나 13번홀(파5)에서 보기를 범해 삐끗한 게 아쉬움으로 남았다. 고진영은 “오늘 전반에 경기가 너무 잘 풀려 ‘우승하는 것 아닌가’라는 김칫국을 마셨는데, 이후 보기를 하며
골프업계에서 미국프로골프(PGA)투어 코랄레스 푼타카나 챔피언십은 이른바 ‘B급 대회’로 여겨진다. ‘톱 랭커’들은 같은 기간 열리는 월드골프챔피언십(WGC) 델 테크놀로지스 매치플레이에 몰리기 때문이다. 상금만 봐도 그 격차가 느껴진다. 코랄레스 푼타카나 챔피언십의 총상금이 380만달러고, WGC 대회(총상금 2000만달러)는 우승 상금이 이와 비슷한 350만달러다.물론 ‘만만한 대회’는 아니다. 코랄레스 푼타카나 챔피언십 역시 엄연한 PGA투어 정규 대회이기 때문에 우승자에게는 페덱스컵 포인트(300점)와 출전권(2025시즌까지), 메이저대회 출전권(PGA챔피언십) 등의 특전이 걸려 있다. 그래서 재기를 노리는 ‘왕년의 스타’들과 ‘잠룡’ 등 120명이 한 데 섞여 신분 상승 기회를 엿본다.이런 무대에서 ‘부동산 중개업자’로 제2의 인생을 사는 리키 반스(42·미국·사진)가 쟁쟁한 경쟁자들을 따돌리고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반스는 27일(한국시간) 도미니카공화국 푼타카나의 코랄레스GC(파72·7670야드)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합계 14언더파 274타 단독 7위를 기록했다. 세계랭킹 1506위에 불과한 반스는 이 대회 성적을 발판 삼아 다음주 열리는 발스파 챔피언십 출전권까지 확보했다.반스는 PGA투어 골수팬이라면 이름 정도는 아는 선수다. 2002년 US아마추어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2018년까지 PGA투어에서 뛰었다. 그러나 우승과는 연을 맺지 못했다. 급격히 내리막길을 걸으며 시드를 잃고 생계를 걱정하는 처지에 몰렸다. 당장 가족을 위해 급히 부동산업에 뛰어들었다. 반스는 “세 자녀를 키우면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