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가 9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매파적인 입장을 취하며 채권 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이 사들인 장기채ETF 수익률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21일(현지시간) 뉴욕채권시장에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492%까지 올라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2일 한때 4.5%를 웃돌기도 했다. 30년물 금리는 4.552%로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에 달했다. 한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4.015%을 기록해 올해 첫 4%대 금리에 진입했다.
글로벌 국채 금리의 고공행진은 연준이 긴축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연준은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했지만, 점도표상 연말 최종금리 중간 값을 5.6%(5.5~5.75%)로 예측했다. 이는 올해 중 25bp의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국채 금리가 오르며 채권 시장에 뛰어든 투자자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금리 하락을 예상하고 장기채 ETF에 투자했지만 고금리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며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있어서다.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는 지난 6월 1일부터 이날까지 11.37% 하락했다. KODEX 미국채울트라30년선물(H) ETF의 수익률도 -11.74%를 기록 중이다. 이 기간 개인 투자자들은 두 ETF상품을 각각 1023억원, 98억원어치 사들였다.
한국 장기채 역시 수익률이 좋지 않았는데 같은 기간 KBSTAR KIS국고채30년 Enhanced ETF는 6.89%, ACE 국고채10년 ETF는 2.35% 하락했다.
증권가에서는 장기채 ETF가 상승하기까지 인고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분석한다. 긴축의 장기화 흐름이 사실상 예견됐다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금리인하 시기가 내년 4분기까지 늦춰질 전망"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시카고선물거래소의 페드워치에 따르
9월 글로벌 증시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여파로 크게 요동쳤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17년래 최고 수준까지 오르며 증시의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10월에도 증시에 긍정적인 요인을 찾기 어렵다고 내다보면서도 일시적 이벤트가 있는 종목을 중심으로 테마형 장세가 펼쳐질 것으로 전망했다 .치솟은 채권금리에 흔들린 글로벌 증시…코스피 3.7% '털썩'27일 코스피 지수는 0.09% 오른 2465.07에 마감했다. 5거래일만의 반등이라고 하기에는 폭이 미미했다. 지난 20일부터 이날까지 코스피는 3.7%, 코스닥은 4.72% 하락했다. 미국 증시도 분위기는 다르지 않았다. 20일(현지 시각) FOMC 이후 6거래일 중 5거래일을 하락 마감했다.
글로벌 증시의 최대 불안 요인은 치솟는 채권 금리다. 고금리 장기화에 대한 우려로 미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지난 26일 한때 4.56%까지 올랐다. 지난 2007년 이후 최고치다.
10월에도 긍정적 요인을 찾기는 어렵다고 분석한다. 시장에서는 금리 하락 시기를 내년 상반기에서 3분기 이후로 늦춰 잡고 있는 상황이다. 고강도 긴축이 더 장기간 지속되는 셈이다(higher for longer).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코스피는 중기 추세선인 120일선을 하회하는 모습"이라며 "3분기 실적이 반전의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연방정부 셧다운(정부 폐쇄) 우려도 채권 금리를 끌어올리는 부정적 요인이다. 미국 의회가 30일까지 내년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하면 연방정부는 다음 달 1일부터 셧다운 상태가 된다. 이는 국가 신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채권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분석한다. 희망 보여준 공모주…10월에도 기대감 '쑥'2차전
추석 연휴 기간에 미국 물가와 관련된 중요 지표가 잇따라 발표될 전망이다. 이는 외국인 자금의 향방을 가르기 때문에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클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 전문가 사이에서는 "최근 지표 흐름을 봤을 때 상황이 비관적이지는 않다"는 견해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주춤했던 기술주가 다음달 '반격'을 시작할 것이라고 보는 애널리스트도 있다.
연휴 기간에 발표되는 미국 물가 관련 지표 중 가장 먼저 나오는 건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이 내는 소비자물가지수(PCE)다. 이 지표 8월치가 한국시간으로 오는 29일 저녁 9시 30분(미국시간 29일 오전 8시 30분)에 발표된다. PCE는 고용지표와 함께 미국 물가 동향을 가늠하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 꼽힌다.
현재 시장은 8월분 PCE의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을 3.5%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이렇게 나올 경우 지난 6월 3.0%, 7월 3.3%에 이어 2개월 연속 상승이다. 다만 증권가 전문가들은 이보다 '근원 PCE'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근원 PCE는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것으로 일반 PCE와 같은 시각에 발표된다. 8월분 근원 PCE 예상치는 3.9%로 실제로 이정도로 나오면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게 증권가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지난 5월 4.6%에서 6월 4.1%, 7월 4.2%로 낮아진 뒤 8월에도 안정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PCE가 예상치를 넘어서면 물가 상승 우려가 재점화될 수 있다"면서도 "근원 PCE가 예상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향후 물가 상승 우려는 제한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소비가 조금씩 둔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원 PCE의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