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견고한 美 고용률이 증시 위협"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뜨거운 고용 시장은 (기업의) 매출이익을 압박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탄탄한 노동시장이 임금 상승을 부채질하고 인플레이션을 유발해 고금리가 오랜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증시에 악영향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미국의 4월 실업률은 3.4%로 196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노미스트들은 5월 실업률을 3.5%로 예상하고 있다. 경기 침체에 대한 여러 신호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은 50년 이상 만에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현재 월가에선 연준이 금리를 계속 인상하거나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면 증시의 랠리가 계속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S&P500은 올해 긴축이 거의 끝났다는 희망으로 9.9% 상승했다. 그러나 다가오는 6월 FOMC에서 금리 인상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투자 자문회사 스트레이 리플렉션 창업자 자와드 미앤은 "고용 시장의 건전성은 소비자들이 긴축 정책을 견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강하다는 것을 증명한다"면서 "이는 주식이 계속 반등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약세장을 전망하는 투자자들은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기에 밸류에이션이 무너진다"면서 현재 증시가 역사적 평균 대비 고평가돼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S&P500은 향후 12개월 동안 예상 수익의 18.2배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최근 10년 평균인 17.5배를 웃도는 수준으로 현 시장이 약세장 랠리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조연우 블루밍비트 기자 told_u_so@bloomingbit.io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