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스팅닷컴] 도이치은행도 파산할까?

By Damian Nowiszewski (데미안 노비셰프스키)

(2023년 3월 27일 작성된 영문 기사의 번역본)
  • 지난주 도이치은행 신용부도스와프(CDS)가 급등하고 주가가 급락해 투자자와 예금자들의 우려가 커졌다.
  • 2008년 금융위기부터 시작된 도이치은행의 오랜 구조적 문제로 신뢰가 약화되었다.
  • 중앙은행들은 유동성을 공급하고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은행들을 위해 돈을 찍어내야 할 수도 있지만, 이번에는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에 재고할 수도 있다.

미국과 유럽의 은행 위기 위협 속에서 우리는 지난 주말 또 한 번의 급락을 목격했다.

이번에는 도이치은행(ETR:DBKGn)(NYSE:DB)이었다. 주가는 10% 이상 폭락했다. 이는 은행 파산에 대비해 채권 보유자가 부담해야 하는 보험 비용을 반영한 신용부도스와프(CDS)가 급등한 데 따른 것이었다.

티어2 채권의 조기 상환 발표로 이번 문제가 촉발되었다는 추측도 있다. 이론적으로는 약세 신호가 아니지만 시장은 그렇게 해석한 것이다.

도이치은행의 오래된 구조적 문제로 인해 시장은 부정적인 결론을 내리는 경향이 있다.
도이치은행의 CDS 밸류에이션


2008년 금융위기와 도이치은행


자산 규모가 1조 5천억 달러에 달하는 독일 최대 금융 기관인 도이치은행의 구조적인 문제는 2008년 금융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가장 큰 문제는 손실이 발생하는 투자 사업부였다. 도이치은행은 규제기관에서 부과한 각종 벌금을 내야 했고, 투자 사업부는 분사된 이후 점차적으로 사라졌다.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수년 동안의 회복 계획에서 기본은 기업 및 소매 금융 등 전통
적인 은행 영역에 집중하는 것이었고, 그렇게 시행되고 있다.

그 결과, 긍정적인 신호로서 투자 사업부를 제외한 도이치은행의 수익은 64억 5천만 달러 이상이었다.

그렇다면 도이치은행의 문제는 무엇일까?


개별 은행뿐만이 아니라 은행 시스템 전체에 대한 신뢰의 문제다.

현재, 부분지급준비금 제도에 속한 은행 중 어느 은행도 대규모 예금 인출, 소위 ‘뱅크런’에서 살아남을 수는 없다.

도이치은행 역시 근본적인 문제가 없더라도 평판이 악화되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중앙은행들이 돈을 찍어내야 할까?


주요 중앙은행, 특히 미 연준의 발표와 조치를 고려하면 잠재적 은행 위기에 대한 해결책은 다시 돈을 찍어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슬프게도 익숙한 이야기로 들린다.

실제로, 연준의 제안은 유동성이 필요한 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 즉 난데없이 돈을 더 찍어내고 은행 보증 규모를 늘리는 것인데, 이는 단기적인 구제금융이지만 구조적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구조해 줄 최후의 보증인이 있는 은행은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거나 경영 전반을 개선할 유인이 줄어들고, 결국 도덕적 해이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한편, 예금 보증은 기관의 재무 상황보다는 이자율에 더 집중하는 고객들로부터 은행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이는 자금이 법적으로 보호되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중앙은행이 다시 한 번 돈을 찍어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에는 연준이 수천억 달러를 시중에 풀기 전에 다시 한 번 생각해야 하는 한 가지 핵심 요소, 즉 인플레이션을 고려해야 한다.


도이치은행 주가, 작년 저점 눈앞


이달 초부터 도이치은행 주가는 하락세에 있다. 현재 주가는 2022년 저점 7달러 바로 위에 근접해 있다.
도이치은행 일간 차트
7달러에서 매도세가 강화될 수 있다. 하방 돌파 시 2020년 3월 저점이 다음 목표가 될 것이다.

주: 필자(Damian Nowiszewski)는 글에서 언급된 증권에 대한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습니다.

해당 기사는 인베스팅닷컴에서 제공한 것이며 저작권은 제공 매체에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기사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