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요일별로 다양한 콘텐츠가 제공됩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83.1.jpg)
월가는 여전히 25bp를 인상할 것이란 예상을 유지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Fed워치 시장에선 오전 내내 25bp 인상에 대한 베팅이 80%를 넘었습니다. 언리미티드펀드의 밥 엘리엇 설립자는 "Fed의 금리 인상 중단은 거시경제 데이터뿐 아니라 시장 신호에서도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물론 골드만삭스 웰스파고 등 일부는 동결 주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이코노미스트들은 "1994년 멕시코 위기, 1998년 롱텀캐피털(LTCM) 파산 등 과거 금융위기 상황에서 Fed는 긴축을 피하는 경향이 있었고 다른 정책 수단으로 위험을 억제할 수 있다는 확신이 생길 때까지는 기다리는 걸 선호했다"라고 밝혔습니다.
도이치뱅크의 설문조사 결과는 흥미로웠습니다. 월가 전문가를 상대로 한 설문에서 'Fed가 얼마나 올릴 것(will) 같냐'라고 질문했더니 응답자의 86%가 25bp 인상을 지목했습니다. 하지만 'Fed가 얼마를 올려야 한다고(should) 보는가'라는 물음엔 25bp라고 답한 이가 53%로 뚝 떨어졌습니다. 30%를 넘는 이가 '올려선 안 되는데, 올릴 것 같다'라고 보는 것이죠. 즉 이들은 이번 인상이 정책 실수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3.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6.1.jpg)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약보합세로 출발했고 보합 선을 맴돌았습니다. 채권 시장에서는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그 폭은 크지 않았고 오후 2시까지 역시 보합 선을 오르락내리락했습니다.
그리고 오후 2시가 됐습니다. 통화정책성명서와 점도표가 먼저 발표됐습니다. 그리고 30분 뒤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이 이어졌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87.1.jpg)
FOMC는 예상대로 25bp를 올렸습니다. 만장일치로 결정됐습니다. 기준금리는 4.75~5.0%가 됐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말과 같은 수준입니다. Fed는 작년 3월부터 1년간 아홉 번 연속으로 금리를 올렸습니다. 바로 전 긴축 사이클(2015~2018년) 때도 아홉 번 인상했지만, 당시엔 3년에 걸쳐 올렸었습니다. 엄청난 속도로 긴축이 진행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69.1.png)
② 은행 불안→금리 올린 효과
은행 불안과 관련, 성명서는 "가계와 기업에 대한 대출 조건이 더 엄격해지고 경제 활동, 고용 및 인플레이션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라면서도 "이런 영향의 정도는 불확실하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가 신용 경색→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힌 것이죠.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2.1.png)
성명서에선 큰 변화가 하나 있었습니다. 지난번 성명서까지 총 8번이나 들어갔던 '금리의 지속적 인상이 적절하다'(ongoing increases will be appropriate)라는 문구가 '약간의 추가 정책 확인이 적절할 수 있다'(some additional policy firming may be appropriate)라고 바뀐 것입니다. 계속 올리는 게 아니라 약간만 더 올리겠다는 뜻입니다.
이는 점도표에서 확인됐습니다. Fed 위원들의 최종금리 전망치가 5.1%로 그대로 유지된 것입니다. 5월에 한 번만 더 올리면 최종금리에 도달하는 것이죠.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4.1.jpg)
④ "동결도 고려했다"
파월 의장은 은행 혼란으로 인해 "우리는 금리 인상 중단도 고려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금융여건의 긴축은 금리 인상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25bp 금리 인상과 같거나 그 이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2% 인플레이션을 회복하는 길은 반드시 금리 인상으로만 할 필요는 없고 금융여건 긴축으로도 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최근 은행 파산 이전에는 두 달간의 강력한 경제 데이터에 비추어 금리를 50bp 올리는 방안까지 고려했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은행 혼란이 신용을 얼마나 긴축시킬지는 불분명하다고 말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문제는 이 신용 경색이 얼마나 중대할 것인가라는 것"이라며 "지금은 일종의 어림짐작이지만 상당히 실질적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we think it's potentially quite real)라고 설명했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1.1.jpg)
파월 의장은 "디스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있다"라면서 또다시 세 가지 종류의 인플레이션에 관해 설명했습니다. 상품에선 디스인플레이션이 나타나고 있고, 주거비에선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두 가지는 Fed의 물가 벤치마크인 근원 개인소비지출(PCE)의 44%를 차지합니다. 파월 의장은 "하지만 56%를 차지하는 주거비를 제외한 서비스 부문에서는 아직 디스인플레이션을 못 보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여기까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습니다. 성명서와 점도표가 나온 뒤 주가지수는 소폭 상승했고, 국채 금리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은 비둘기파적으로만 말하진 않았습니다.
⑥ 올해 말 금리 인하? 부정적
파월은 "시장이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면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연내 금리 인하는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그는 "성장이 느려지고 노동시장의 수급이 재조정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하락하길 기대한다. 그럴 가능성이 가장 큰 경우 회의 참가자들은 올해 금리 인하를 보지 않는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오히려 "우리가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도 말했습니다.
⑦ QT는 그대로
Fed는 지금 월 950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감축하고 있습니다. 양적 긴축(QT)입니다. 월가에서는 이번 위기로 Fed가 유동성 공급을 재개한 만큼 QT를 조정하지 않겠냐는 기대가 있었습니다. 모건스탠리는 "향후 불확실성 때문에 QT 프로그램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밝혔지요.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파월 의장은 "최근 은행에 대한 유동성 공급으로 대차대조표가 커졌다"라면서도 "그 의도와 효과는 양적 완화(QE)와 매우 다르다"라고 말했습니다. 일시적으로 빌려준 것일 뿐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는 지금은 특별한 유동성 요구가 있을 때이고, QE는 금리를 낮춰 정책 기조를 바꾸려는 Fed의 의도가 담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QT를 변화시킬 아무런 증거를 보지 못한다"라고 덧붙였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0.1.png)
그는 "연착륙을 달성하거나 침체 없이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 있는 길이 아직 남아있다"라고 했지만 "최근 은행 혼란이 그런 전망에 영향을 미칠지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최근의 일이어서 아직 그 영향을 평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죠.
블랙록의 릭 리더 글로벌 채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Fed가 오늘 제시한 경제전망(SEP)에서 올해 말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를 0.4%로 직전보다 0.1% 포인트 낮춘 것을 지적하면서 "1분기 성장률이 강력한 상황에서 올해 전망치를 0.4%로 하향한 것은 하반기 마이너스 성장을 가정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애틀랜타 연방은행의 GDP나우는 현재 1분기 GDP 증가율을 연율 3.2%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월가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25bp 더 낮을 때에도 지역은행들이 흔들렸는데, 이제 25bp가 더 높아졌다. 은행 사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습니다.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QT 등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밝히자 뉴욕 증시는 상승 폭을 조금 줄였습니다. 그러더니 오후 2시 52분께부터 급락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 파월 의장의 발언은 그 정도로 매파적이진 않았습니다. 월가 금융사들도 대부분 '비둘기파적인 인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은행 대출 기준 강화에 따른 긴축 효과가 기준금리 인상을 대체할 수 있다'라며 5월에 25bp 인상으로 이번 긴축 사이클이 종료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기존 6월 인상 예상을 취소한 것입니다. 최종금리 예상도 5.0~5.25%로 낮췄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단기에 은행 혼란이 가라앉는다면 강한 거시 데이터가 이어지면서 Fed가 5월 이후에도 금리 인상을 계속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긴축 사이클이 예상보다 빨리 끝날 위험이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분석했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80.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85.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84.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99.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66.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67.1.jpg)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86.1.jpg)
뉴욕생명 자산운용의 윤제성 CIO는 "옐런 장관이 말은 저렇게 했지만, 실제 은행 위기가 번지면 은행마다 들어가서 예금을 보장할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밤사이 투자자들이 이런 생각을 갖게 된다면 시장 상황은 내일 또 바뀔 수 있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인상 5월 끝낸다는데 왜 급락? 파월 아닌 옐런 사고 쳤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303/01.32966778.1.png)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