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둘째 주, 한경 마켓PRO가 주목한 종목과 이슈는? [위클리 리뷰]
이번 주(2월6일~2월10일) 마켓PRO에선 LG생활건강, SAMG엔터, 스코넥, 삼성중공업에 대한 투자 포인트를 살펴봤습니다. 이외에 서윤석 미래에셋자산운용 리서치본부 팀장에게 듣는 증시 전망을 비롯해 투자 전략 급수정한 증권사들, 초장기채 ETF 투자법 등 다양한 정보를 한경닷컴 독자들에게 전달했습니다.
이 종목 살까 말까-LG생활건강, SAMG엔터, 스코넥, 삼성중공업
✔몰락한 '황제주'로 달려간 개미들…엉터리 분석이 만들어낸 촌극?![2월 둘째 주, 한경 마켓PRO가 주목한 종목과 이슈는? [위클리 리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1.32601635.1.png)
✔'화장품株 옛 영광 재현할까' 中수출 기대감 순풍부는 SAMG엔터
![2월 둘째 주, 한경 마켓PRO가 주목한 종목과 이슈는? [위클리 리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1.32601636.1.jpg)
한국 애니메이션 '캐치! 티니핑(이하 티니핑)' 시리즈는 부모들 사이에서 흔히 '파산핑'이라고 불립니다. 티니핑 애니메이션이 아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다 보니 부모들은 티니핑 장난감을 사주기 바빠서죠. 더 큰 문제는 피규어같은 장난감부터 젤리, 뮤지컬까지 티니핑이 안 엮인 콘텐츠가 없고, 콘텐츠 끼리도 연속성을 갖다 보니 사야 할 것이 너무 많아진다는 것입니다. 이런 부모들의 슬픈 마음을 뒤로하고 웃음 짓는 건 티니핑 제작사 SAMG엔터입니다. 국내 매출 비중이 너무 크다며 공모가를 낮춰서 증시에 데뷔했던 SAMG엔터는 최근 티니핑의 인기가 중국까지 뻗어나가면서 다시금 증권가의 주목을 받고 있죠.
✔다시 '메타버스 테마' 뜬다는데…스코넥 지금 담아도 될까

✔올해 '흑자전환' 기대된다는 삼성중공업…이번엔 진짜일까

이런 모습은 삼성전자와 삼성중공업에서만 나타난 게 아닙니다. 앞서 한경 마켓PRO는 <실적과 무관한 주가?…실적 컨센서스 하향폭 큰 종목들 주가가 더 올라>를 통해 작년 4분기 실적시즌에 접어든 뒤 영업이익 컨센서스가 하향된 종목들의 주가가 상향된 종목들보다 더 올랐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물론 일각에서는 현재 주식 시장 참여자들이 악재는 무시하고 호재만 확대 재생산해 주가가 과도하게 오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합니다. 작년까지 8년 동안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 삼성중공업의 올해 흑자 전환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릴 만했는지 따져보겠습니다.
어떤 투자 전략 통할까-컨센서스·수익률 비교, 초장기채 ETF 투자법 등
✔'컨센서스의 굴욕'? 서프라이즈·쇼크 종목 수익률 '비슷'
발표된 실적이 컨센서스를 웃돈 '어닝 서프라이즈' 기업들은 올해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도 대체로 상향됐고, 발표된 실적이 컨센서스에 못 미친 '어닝 쇼크' 기업들은 그 반대였죠. 주가가 증권가의 향후 전망에도 별 영향을 받지 않은 모습입니다.
✔초장기채 ETF 잘못 사면 손해 막심…상품 별 투자 유의점은?

✔'1월 전망 다틀렸다...' 전략 급수정한 증권사들 '이것' 확인하라는데
![2월 둘째 주, 한경 마켓PRO가 주목한 종목과 이슈는? [위클리 리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1.32601697.1.jpg)
오픈·블라인드 인터뷰-증시 전망, GPT 열풍 유효기간 등
✔"증시 2~3월에 저점 형성 후 상승세 탈 것…스마트폰 업종 주목"[오픈 인터뷰] 서윤석 미래에셋자산운용 리서치본부 팀장

서윤석 미래에셋자산운용 리서치본부 팀장은 연초 반등장이 펼쳐진 뒤 기대 이상의 경제지표가 발표되면서 미국이 경기침체를 겪지 않을 게 확실시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미국 중앙은행(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전환(피벗)을 지연시킬 수 있지만, 1분기 실적 시즌을 거치면서 기업들의 실적 불확실성이 완화돼 주식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죠. 그에게 최근 시장 분위기가 바뀐 배경과 대응방안을 들어봤습니다.
✔올해 주식시장 M&A '큰 장' 서나…이런 기업 눈여겨봐라
[블라인드 인터뷰] 인수·합병(M&A)업계 관계자들

한 회계법인 M&A 파트에서 활동 중인 A씨는 최근 시장에서 알짜 매물을 찾는 상장사들이 늘었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업황이 침체되자 싼값에 회사를 파는 대주주들이 늘고 있는 것. 투자은행(IB) 관계자 B씨의 경우 해외 M&A시장에서 알짜 자산 등을 물색하는 고액 자산가들이 적지 않다고 말합니다.
✔증시 휩쓴 챗 GPT 열풍…유효기간은 언제까지?
[블라인드 인터뷰] 금융투자업계 전문가들
![2월 둘째 주, 한경 마켓PRO가 주목한 종목과 이슈는? [위클리 리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302/01.32601718.1.jpg)
다만 증권가에선 챗GPT에 대한 기대감이 과도하다는 것과, 수혜주로 언급되는 대부분의 종목이 실체가 없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증권형토큰(STO) 수혜주가 부상하는 것도 이 때문이란 시각도 나오죠. 한경 마켓PRO가 챗GPT에 대한 증권가의 시각을 블라인드 인터뷰 형식으로 담았습니다.
류은혁 한경닷컴 기자 ehryu@hankyung.com
한경 온리(Only) 콘텐츠로 채운 한경 마켓PRO와 함께 달라진 투자의 깊이를 경험해 보세요. 자세한 내용은 한경닷컴 내 별도 마켓PRO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