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랜드 사태 때보다 낮아…"FOMC 이후 반등 가능성"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 대형 이벤트가 연달아 터지면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채권 회전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율은 발행 잔액 대비 거래량의 비율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투자자 간 거래가 많이 이뤄져 손바뀜이 자주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20일까지 국채, 지방채, 회사채 등 전체 채권(장외) 거래량은 257조1천185억원, 발행 잔액은 2천605조8천22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때 거래량은 채권의 액면가를 기준으로 산정된 금액으로, 추후 채권 가격변동 등에 따라 형성된 실제 거래금액과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른 이달 전체 채권 회전율은 9.87%로 나타났다. 이는 금투협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6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회전율이 10%를 밑돈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직전 역대 최저치인 지난해 10월(12.06%)보다도 2%포인트(p) 이상 하락했다. 이른바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 시장 전반이 얼어붙었던 시기보다 이달에 거래가 더 부진한 것이다. 지난해 3월 채권 회전율은 16.91%를 기록했고, 이후 지난달까지 1년간 월간 12∼16%대 수준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이달 시장에 변동성을 일으키는 요인이 한꺼번에 쏟아지면서 채권금리가 일정한 방향성 없이 큰 폭으로 널뛰자 투자자들이 거래를 망설여 회전율이 급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채권 종류별로 봐도 이달 국채 회전율은 12.12%를 기록해 지난달까지 최근 1년간 13∼21%대였던 것과 비교해 낮았고, 은행채와 회사채 등 다른 채권들의 회전율도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이달 미국 SVB, 시그니처은행의
신한투자증권은 한국전력이 1997년 발행한 비과세 달러표시 채권을 판매한다고 20일 밝혔다. 만기는 2027년이고 매년 두 차례(2월 1일, 8월 1일) 연 7%에 해당하는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신한투자증권 지점과 스마트폰 앱 ‘신한알파’를 통해 150억원 한도로 판매한다.이 채권은 외환위기 당시 한전이 외화를 조달하기 위해 30년 만기로 찍어낸 것이다. 옛 조세감면규제법에 따라 이자소득세를 떼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1998년 말까지 국가·지방자치단체·내국법인이 발행한 외화표시 채권은 이자소득세가 면제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개인은 1.4%, 법인은 2.8%의 농어촌특별세만 내면 된다. 외화표시 채권의 특성상 원금과 이자는 달러로 지급되며 채권을 살 때도 달러로 사야 한다.한전채는 국채와 신용등급이 같은 우량 채권으로 꼽힌다.임현우 기자
3년 만기에 연 7% 가까운 수익률을 약속한 회사채가 석탄화력발전소 설립자금이라는 이유로 투자자에게 외면당했다. ‘반(反)ESG(환경·사회·지배구조) 투자’를 꺼리는 기관투자가들의 최근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평가다.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강원 삼척 지역에 국내 최대 규모의 석탄발전소를 세우기 위해 설립된 삼척블루파워는 최근 3년 만기 연 6.96% 회사채를 발행해 2250억원을 조달하려고 했으나,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 과정에서 80억원을 모집하는 데 그쳤다. 투자자를 구하지 못한 미매각 채권은 발행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떠안게 됐다.최근 시장의 자금 긴축 분위기를 고려하더라도 연 7%에 가까운 고수익 채권이 매각에 실패한 것은 이례적이다.최근 대형 펀드와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는 처음부터 ESG 투자에 반하는 투자를 하지 말라고 못 박는 경우가 많다. 투자 지침에 ‘반ESG로 논란이 될 만한 투자는 피해야 한다’는 문구를 명시하기도 한다.물량을 떠안은 증권사들은 골치 아픈 상황에 처했다. 당초 증권사들은 미매각 채권을 장외 시장에서 개인에게 직접 팔 예정이었지만, 그마저도 ‘증권사가 반ESG 투자를 개인에게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등은 리테일(개인 대상) 판매를 포기했다.성상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