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안정세를 보이던 외환시장이 다시 요동치고 있다. 지난 2일 1220원30전까지 떨어졌던 원·달러 환율이 3일 1229원40전으로 올라선 데 이어 4일 뉴욕 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선 1247원 선까지 뛰었다. 미국 고용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돌면서 미 중앙은행(Fed)의 긴축 조치가 예상보다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져 미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결과다.4일 NDF 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1개월물은 1247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1원25전)를 감안하면 3일 서울외환시장 종가(1229원40전) 대비 18원85전 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6일 서울외환시장이 열리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할 가능성이 크다.환율이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미국 고용시장이 예상 밖으로 좋았기 때문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51만7000명 증가했다. 시장 예상치(18만7000명)의 세 배에 육박한다. 1월 실업률은 3.4%로 시장 전망치(3.6%)보다 낮았다. 1969년 5월 이후 최저였다.당초 시장에선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를 근거로 Fed가 긴축을 조기 종료할 것이란 관측이 많았는데 고용지표 등이 발표된 뒤에는 긴축이 길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늘었다.달러 가치는 상승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3일(현지시간) 102.99로 전날보다 1.22% 올랐다. 달러 강세는 원화 약세(원·달러 환율 상승) 요인이다.만약 Fed가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해 한·미 금리차가 지금(1.25%포인트)보다 더 벌어진다면 환율이 또다시 뛸 가능성도 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코스피가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3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52포인트(0.47%) 상승한 2480.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4포인트(0.09%) 내린 2466.54로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5857억원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4145억원, 1948억원 매도 우위였다.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하락 출발 후 상승전환했다"며 "미국 대형 기술주의 부진한 실적 발표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며 하락 출발했지만 장중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전환했다"고 말했다.시총 상위주 가운데 네이버, 카카오 등 서비스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네이버는 지난해 예상치를 하회한 실적 발표에도 올 상반기 서치GPT 출시 예정이라는 소식에 5% 넘게 올랐다. 카카오는 4%대 상승세를 보였다.전일 미국 증시에서 메타의 호실적 발표와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에 23% 급등한 영향도 작용하며 동반 상승했다.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등도 상승한 채 거래를 마쳤다. 반면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등은 하락했다.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2.17포인트(0.28%) 오른 766.79로 마감했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5포인트(0.1%) 오른 765.37로 출발했다.코스닥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37억원, 54억원 순매수했고 기관은 447억원 매도 우위였다.시총 상위주 가운데 에코프로가 5% 넘는 상승세를 보였다. 에코프로비엠, 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 등도 상승했.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 엘앤에프, HLB 등은 하락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8.9원 오른 1229.2원에 마감했다.간밤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을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1% 하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1.47%, 3.25% 올랐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
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의 '사자'에 장 초반 소폭 상승하고 있다. 3일 오전 9시12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4포인트(0.04%) 상승한 2469.82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34포인트(0.09%) 내린 2466.54로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231억원, 237억원 순매수 중이다. 기관은 1475억원 매도 우위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네이버, 카카오가 각각 1%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현대차 등은 소폭 오르고 있다. 반면 LG화학은 1% 넘게 주가가 하락 중이고 SK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소폭 하락 중이다.코스닥도 상승세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48포인트(0.06%) 오른 765.1에 거래되고 있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75포인트(0.1%) 오른 765.37로 출발했다.개인은 781억원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62억원, 464억원 매도 우위다.서울외환시장에서 오전 9시10분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1원 오른 1226.4원에 거래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을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1% 하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1.47%, 3.25% 올랐다.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0.5%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전일 메타플랫폼스의 서프라이즈한 결과 이후에 금일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애플, 아마존,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가 시장 예상을 하회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시간 외에서 3~5%대 약세를 보이고 있는 점은 국내 증시 상승을 제한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