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급락했다 연초 급반등세로 돌아선 미국 테슬라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910억원을 넘어섰다.
ELS는 기초자산인 주가지수나 개별 종목 가격 흐름과 연계돼 투자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으로, 통상 6개월마다 기초자산 가격을 평가해 조기상환 기회를 준다.
기초자산 가격이 일정 기준을 밑돌면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작년 거듭된 약세장에 수익성이 부진했던 ELS가 올해는 안정적인 조기상환을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일 금융정보업체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연초 이후 테슬라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 발행 규모는 약 91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엔비디아(173억원), 아마존닷컴(80억원), AMD(61억원), 애플(24억원) 등 다른 해외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와 비교해 압도적으로 큰 규모다.
테슬라 기초 ELS는 지난해 총 8천879억원 규모로 발행돼 해외주식 기초 ELS 가운데 발행액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작년 테슬라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전체 상품 가운데 약 45%가 연중 '녹인'(손실 발생 구간·knock-in)에 진입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달 3일 108.10달러 수준까지 내려갔던 테슬라의 주가가 지난 3일 189.98달러에 마치는 등 1개월여 만에 75% 이상 오르자 ELS의 가격 메리트가 부각되면서 발행액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새해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글로벌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ELS 상품의 안정적인 조기상환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ELS 상환액은 1조7천626억원으로, 발행 6개월째를 맞아 1차 조기상환 대상이 된 지난해 7월 발행액(1조1천535억원)보다 6천억원 이상 많았다.
지난달 ELS 상환액 가운데 조기상환액은 1조6천830억원이었다.
즉 지난해 7월 발행된 1차 조기상환 물량이 지난달 대부분 조기상환에 성공하고, 2차 이상의 조기상환 대상 물량들도 5천300억원가량 추가 조기상환 된 것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이 연초 이후 전체 ELS 발행액의 57.70%를 차지하는 등 ELS 상품 대부분이 글로벌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조기상환 전망도 밝은 편이다.
현재 ELS 기초자산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주가지수 3개가 모두 6개월 전보다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종가 기준 이달 3일 S&P 500지수는 4,136.48로 지난해 8월 말(3,955.00)의 104.59% 수준이다.
유로스톡스 50지수와 코스피200은 각각 121.06%, 100.90% 수준이다.
정인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작년 12월에 2021년 7월 이후 처음으로 6개월 전 발행 금액보다 조기 상환 금액이 많았다"며 "작년 12월 초과 조기 상환 금액은 400억원에 그쳤으나 1월에는 그 금액이 5천300억원으로 증가해 이전에 조기 상환에 실패했던 ELS 재고 정리가 진행되는 모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증시가 추가 하락하지 않으면 이달 중에도 조기 상환 여건은 양호하고, 지난해 9∼10월 주가 수준이 낮아 올해 3∼4월에는 조기상환에 더욱 유리할 것"이라며 "ELS 시장의 재고 정리는 당분간 무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스닥은 역동성과 성장성을 지닌 기업들이 모인 시장입니다. 그런 회사들이 잘 크기 위해선 건전성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시장 건전성이 확립돼야 앞으로 코스닥시장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겁니다.”김학균 전 한국거래소 코스닥위원장(사진)은 임기 마지막 날인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3년간의 소회를 밝히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2018년 코스닥시장위원회가 외부 전문가를 위원장으로 임명하기 시작한 이후 두 번째 외부 출신 인사다. 법조인이지만 한국은행을 거쳐 미국 법무법인에서 기업공개(IPO) 업무를 담당하는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김 전 위원장은 “임기 동안 증시가 참 다양한 일을 겪다 보니 3년이 너무 빠르게 지나갔다”고 말했다.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가 터질 당시 임기를 시작해 유동성 장세를 지나며 코스닥시장의 등락을 지켜본 소회였다. 오스템임플란트 횡령사건 등 사고가 잇달아 터지며 다사다난한 임기를 보냈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가장 기억에 남는 대목으로는 지난해 10월 12일 신라젠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때를 꼽았다. 신라젠은 2020년 5월 대표 및 임원의 횡령·배임 혐의로 주식 거래가 정지됐다가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면서 2년5개월 만에 거래가 재개됐다. 당시 17만 소액주주의 운명이 걸린 일인 만큼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거웠다.김 전 위원장은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에 대해서는 연구개발 경과, 지속성, 자금조달 가능 여부 등을 종합 고려해 심사하도록 전반적인 검토 절차를 개선했다”며 “신라젠과 같은 유사한 사례가 계속 나올 것이기 때문에 이런 절차를 다듬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 것”이라고 했
한국거래소는 'KRX 포스트 IPO(기업공개) 지수', '코스피200 총수익(NTR·Net Total Return) 월간 레버리지 지수' 등 2종의 신규 지수를 다음 달 3일 발표한다고 30일 밝혔다. KRX 포스트 IPO 지수는 신규 상장 종목 중 상장일로부터 15영업일이 지난 종목을 편입하고, 140영업일이 지나면 다시 편출하는 지수다. 상장 초반 IPO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일정 기간 주가 흐름이 양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반영해 개발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3월까지 이 지수의 수익률은 38.43%이다. 같은 기간 코스피200 지수는 3.65%, 코스닥150 지수는 16.88% 각각 하락했다. 코스피200 NTR 월간 레버리지 지수는 코스피200 NTR 지수의 월간 누적수익률을 정방향 2배로 추종한다. 코스피200 NTR 지수는 코스피 200 구성종목의 배당 등 수익금에서 소득세를 차감한 뒤 재투자하는 것을 가정해 산출하는 지수다. 거래소는 "주식시장이 횡보하는 시기에 월간 레버리지 지수는 일별 레버리지 지수의 수익률을 웃돈다"며 "다양한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수요를 맞출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작년 증시 부진으로 한국거래소의 영업이익도 35%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거래소의 작년 영업수익(매출)은 전년(7천428억원) 대비 20.5% 감소한 5천906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전년(4천37억원) 대비 35% 감소한 2천624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한 해 하락장이 계속되면서 거래대금이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세법 개정에 따른 법인세 비용 감소 등 영향으로 2021년 2천790억원에서 2022년 3천14억원으로 8.0% 늘었다. 작년 한 해 코스피는 24.9%, 코스닥지수는 34.3% 하락했다. 코스피·코스닥시장 일평균 거래대금은 각각 전년 대비 41.6% 감소한 9조원, 41.9% 감소한 6조9천억원이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