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가상자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로스틴 베남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올해 가상자산 규제와 관련해 더 많은 집행 선례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미국 변호사 협회 행사에 참여해 "가상자산 관련 인력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산업 내 중요한 조처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CFTC는 미국 내에서 불법적으로 파생상품을 제공하거나 레버리지, 마진 등 디지털 자산 상품 관련 서비스들에 대해 조치를 취해왔다"고 전했다.
이어 "올해 디지털 자산의 불법 거래를 추적하는데 위원회의 권한 전체 범위를 사용하겠다"며 "CFTC 측은 현재 토큰 거래를 직접 감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져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시장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보다 CFTC가 가상자산 규제를 리드하는 게 유리하다고 평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김우석 라인테크플러스 대표가 라인 블록체인의 '제로 리저브' 선언에 대해 "이는 성장하는 서비스에 선택과 집중을 해 더욱 효율적으로 투자하겠다는 의미"라고 30일 밝혔다.김 대표는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라인 글로벌 웹3 사업 스터디 세션에서 "링크(LN)의 제로 리저브 선언은 대규모의 토큰 사전 발행을 통한 사업 투자를 안하겠다는 의미이다. 사전에 정해진 발행량 안에서는 투자를 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그는 "서비스 시작 전부터 대량의 토큰을 투자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사실 투자보다 더 본질적인 것은 서비스의 성공"이라고 말했다.이어 "그런 측면에서 라인의 메신저 연계 사업과 글로벌 유저들을 끌어올 마케팅을 기획하는 것이 우리 프로젝트의 본질적인 유치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정효림 블루밍비트 기자 flgd7142@bloomingbit.io
게리 겐슬러(Gary Gensler)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의 위법행위 단속을 강조하며 24억 달러 규모의 추가 예산 편성을 요청했다.30일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겐슬러 위원장은 29일(현지시간) 미국 하원 세출위원회 예산 청문회 연설문을 통해 "금융 시장의 급속한 기술 혁신으로 인해 새로운 영역, 특히 가상자산 분야에서 위법행위가 발생하고 있다"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겐슬러 위원장은 "SEC가 추가 자금을 통해 170명의 직원을 신규 고용하고, 이들 대부분은 집행 및 조사 부서에서 일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규제 기관에 24억 달러의 예산을 할당하라는 바이든 대통령의 요청에 지지를 표명했다. 더불어 그는 "SEC는 지난해 내부 고발자 등으로부터 3만5000건 이상의 위법행위 제보를 받았으며 750건이 넘는 집행 조치를 취하고, 64억 달러 규모의 벌금과 과징금 부과 명령을 내렸다"고 전했다. 한편 해당 집행조치 가운데 30건은 가상자산 시장과 연관된 것으로 총 2억4200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2021년) 대비 36% 증가한 수치다. 양한나 블루밍비트 기자 sheep@bloomingbit.io
김우석 라인테크플러스 대표가 "올해 2분기 내에 3가지 핵심 분야의 라인 웹3 플랫폼을 모두 출시하겠다"고 30일 밝혔다.김 대표는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된 라인 글로벌 웹3 사업 스터디 세션에서 "아바타·메타버스, 게임, 팬덤 분야에서 각각 알파크루즈(ACRZ), 게임도시(GameDosi), 에이바(AVA) 플랫폼을 다가오는 봄에 정식 출시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알파크루즈는 웹3 아바타 및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유저들이 아바타를 창조, 소유하는 문화를 만들고 디지털 패션 시장을 대중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임도시는 30억명에 달하는 게이머를 위한 웹3 게임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이 웹3 게임을 더욱 쉽게 구축하고 퍼블리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에이바 플랫폼은 아티스트와 팬들이 직접 아티스트의 모먼트를 기록하는 등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정효림 블루밍비트 기자 flgd7142@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