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등 글로벌 빅테크들이 기대 이하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는 3일 급등했다. 네이버도 부진한 실적을 내놨지만 ‘네이버판 챗GPT’인 서치GPT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네이버는 이날 5.67% 상승한 22만3500원에 마감했다. 카카오도 4.19% 오른 6만7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애플과 알파벳이 작년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각각 3.2%, 4.6% 급락했지만 네이버와 카카오는 오름세를 보였다.네이버와 카카오는 올 들어 각각 25.91%, 26.55% 급등했다. 지난해 내내 주가 조정 원인으로 작용한 글로벌 금리 인상 기조가 올 들어 둔화할 것이란 기대가 커진 것이 호재로 작용한 결과다.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성장주는 금리가 상승하면 할인율이 높아져 주가가 하락 압력을 받고, 반대 상황에선 상승세를 탈 가능성이 커진다.네이버도 이날 부진한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33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감소했다. 그럼에도 주가가 급등한 것은 서치GPT 출시 계획을 내놓은 덕분이라는 분석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날 “생성형 인공지능(AI) 같은 새로운 검색 트렌드에 대한 대응책을 준비 중”이라며 “올 상반기에 네이버만의 업그레이드된 검색 경험인 서치GPT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증권업계에선 국내 플랫폼산업을 대표하는 두 종목 주가가 중장기적으로 상승세를 탈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하지만 단기 주가 전망은 엇갈리고 있다.상승론자들은 지난 1일 미국 중앙은행(Fed)이 처음으로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둔화)’을 언급해 올해 금리 인상 속도 둔화 기대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추세적 반등을 이어갈 것으로 본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Fed가 연말에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는 것은 성장주에는 최대 호재”라며 “네이버와 카카오의 웹툰사업부 가치가 주가에 거의 반영되고 있지 않은 점도 주가 하락을 방어할 것”이라고 했다.글로벌 빅테크보다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이 높은 점은 단기 상승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각각 28.5배, 50.2배다. 애플, 알파벳, 메타플랫폼스 등은 PER이 18~23배 수준이다.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임을 앞두고 거세진 ‘외풍’이 KT 주가의 발목을 잡고 있다. KT는 3일 증시 개장 직후 5.19% 급락해 3만2900원까지 밀렸다. 이후 낙폭을 줄여 전날보다 1.15% 내린 3만4300원에 거래를 마쳤다.하나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KT의 경영 불안에 대한 걱정이 엄습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KT 투자 비중을 줄이라”고 권고했다.이 증권사는 지난달 KT 매수를 강력하게 권하는 보고서를 다섯 차례 냈다. 구현모 대표가 연임해 ‘2기 체제’에 들어가면 배당 정책이 유지되고 지배구조 개편도 속도를 낼 것이란 이유에서다. “반드시 2월 전 매수해야 한다”(1월 10일), “2월이면 늦다”(19일), “2월에는 호재가 연발한다”(31일) 등의 표현이 담겼다. 하지만 이날 하나증권은 KT에 대한 ‘컨빅션 바이(매수 적극 추천)’ 투자의견을 철회하고, 통신주 톱픽(최선호 종목)을 LG유플러스로 교체했다.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갑자기 의견을 바꾼 이유는 3월 주주총회에서 구 대표 연임이 확정돼도 경영 불안이 지속될 것이기 때문”이라며 “정부가 직접 나서 소유분산 기업의 지배구조 투명화를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당장 사라”에서 “팔라”로 돌변한 보고서가 투자자에게 혼란만 줬다는 지적도 제기된다.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미국 시장에서 호실적을 거둔 현대차와 기아 주가가 동반 상승했다.3일 현대차는 1.71% 오른 17만2800원에 마감했다. 기아는 2.15% 상승한 7만1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되살아나고 있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 1월 최다 판매를 기록하면서 주가가 올랐다는 분석이다.미국 신차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는 것은 반도체 수급 문제가 해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1월 미국 자동차 계절조정 연간 판매대수(SAAR)는 1574만 대였다. 2021년 5월 이후 최고치로, 전월 대비 18.26% 늘었다. 1월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106만5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했다.1월 현대차 미국 판매 대수는 5만6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8.5% 늘었다. 기아 역시 5만2000대를 팔아 22.3% 증가했다. 두 회사 모두 1월 기준으로 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은 차를 팔았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10.2%로 전년 동기 대비 0.7%포인트 높아졌다.두 회사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올해도 상승 추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전기차 라인업이 부재한 일본 자동차 회사들의 고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월 일본 도요타, 혼다, 닛산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재고 부족과 생산 차질로 인해 26.4%에 머물렀다. 전년 동기 대비 2.7%포인트 하락한 기록이다.이재일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시장에서 강력한 전기차 라인업을 보유한 업체와 그렇지 못한 회사 간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구교범 기자 gugyobeo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