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금융그룹 계열사들이 나란히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면서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금리 상승, 증시 급락, 부동산시장 침체 등 대외 악재로 대다수 증권사 실적이 많게는 반토막 난 상황에서도 선제적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두 자릿수 영업이익 증가세를 나타냈다. 메리츠화재도 매출 성장 및 비용 효율화 전략에 성공을 거두면서 호실적을 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조925억원으로 전년 대비 15.1%, 당기순이익은 8280억원으로 5.8% 증가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2일 발표했다. 영업이익이 1조원을 넘어선 것도 처음이다.
작년 메리츠증권 영업이익 규모는 증권업계 1위가 확실시된다. 국내 증권사 자기자본 1위인 미래에셋증권은 작년 영업이익이 8459억원으로 전년 대비 43.1% 감소했다. 삼성증권은 5786억원으로 55.8% 줄었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한국투자증권도 작년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이 5050억원이던 것을 고려하면 메리츠증권을 넘어서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메리츠증권은 트레이딩 부문에서 선제적으로 금리 상승에 대비한 것이 영업이익 증가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선제적으로 보유 채권 만기(듀레이션)를 축소하고 국채선물 매도 등을 통해 헤지(위험 회피)에 나서면서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손실을 최소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금융(IB) 부문에서 리스크 관리와 선별 투자를 통해 양호한 성과도 냈다고 설명했다.
메리츠증권은 2010년 메리츠종합금융과 합병할 당시 영업이익 322억원의 중소형사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 등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서 건설회사가 문전박대당하는 시기에 ‘미담확약(미분양담보대출확약)’이라는 히트 상품을 내놓으며 사세를 확장했다. 건물 준공 이후 미분양이 발생하면 이를 담보로 금융회사가 시공사에 자금을 대출해주는 상품이다. 미분양이 생기지 않으면 대출이 실행되지 않고 보증 금액의 3% 안팎의 높은 수수료를 챙겼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2019년까지 주식 시장 침체로 증권업계가 고전하는 동안 메리츠증권은 부동산 시장 호황을 타고 돈을 쓸어 담았다”고 말했다. 다만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자기자본 대비 110%에 달할 정도로 높아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 실적이 부진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 이에 대해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수익보다 안정성을 중시하고 있다”며 “PF 대출 중 선순위 비율이 95%에 달한다”고 말했다.
매출 다변화를 위해 메리츠증권은 리테일시장 사업 확장에도 나서고 있다. 메리츠증권의 위탁매매시장 점유율은 1.6%에 불과하다.
메리츠화재는 작년 영업이익이 1조1607억원으로 27.9% 증가했다. 순이익은 8548억원으로 29.4%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비용 효율화를 통해 양호한 성과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다만 메리츠화재 순이익은 증권사 평균 전망치(9058억원)를 밑도는 수준이다.
국내 대형 손해보험사들이 지난해 역대 최대의 순익을 냈다. 보험영업이익 증가와 장기보험,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 등의 영향이 주요했던 것으로 분석된다.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는 2022년 당기순이익이 전년보다 30.9% 성장한 8,683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0조7,193억 원, 1조1,787억 원으로 각각 6.9%, 29.4% 증가했다. 같은 날 현대해상도 2022년 전년보다 32.8% 증가한 5,746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고 공시했다. 이 역시 사상 최대치다. 영업이익은 26.4% 증가한 8,080억 원 매출은 8.2% 증가한 20조3,844억 원을 기록했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는 지난해 연결기준 누적 순이익이 1조2,83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역시 전년 동기(1조1,247억원)대비 14.1% 늘어난 수준으로 사상 최대 실적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5조7,844억 원으로 지난해(24조4,443억 원)보다 5.5%, 영업이익은 1조6,062억 원으로 6.6% 각각 늘었다.흥국화재도 이날 2022년 주요 결산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당기순이익 1,465억 원을 기록, 전년보다 136.2%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141.8% 증가한 1,864억 원이다. 손보사들이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익을 낸 데는 손해율 개선에 따른 이익 개선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초부터 금융당국과 보험업계가 실손보험 지급 기준을 강화해 손보업계의 장기 위험손해율이 약 4.9%p 개선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장기간 이어진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개선된 점도 주요했다. 운행량이 줄면서 사고율이 낮아진 점이 손보사들의 실적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삼성화재의 경우 지난해 1~3분기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78.9%로 전년 동기(79.2%) 대비 0.3%p 하락했고 장기 위험손해율은 88%로 2.0%p 개선됐다. 장슬기기자 jsk9831@wowtv.co.kr
메리츠화재와 흥국화재가 지난해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수익성이 높은 장기보장성 보험 위주로 실적 개선이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메리츠화재는 작년 당기순이익이 86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9% 증가했다고 2일 발표했다. 역대 최대 규모 순이익이다. 메리츠화재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10조7193억원, 1조1787억원으로 각각 1년 전에 비해 6.9%, 29.4% 성장했다.손해보험사들은 지난해 대체로 좋은 실적을 거뒀다. 백내장 지급 심사가 강화되면서 실손보험 손해율이 개선됐고, 코로나19와 고유가 상황이 겹치면서 자동차보험 손해율도 낮아졌기 때문이다. 손보사 중에서도 특히 메리츠화재의 성장세가 특히 돋보인다는 평가다.메리츠화재는 지난해 3분기에 당기순이익 기준 삼성화재에 이어 손보업계 2위로 도약했다. 보험업계에선 메리츠화재가 4분기엔 실적 1위를 기록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메리츠화재는 경쟁사에 비해 자동차보험 비중이 낮은데, 통상 겨울철엔 폭설이나 한파 등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삼성화재는 오는 21일 4분기 실적을 발표한다.올해부터 도입된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아래에선 장기 보장성보험의 수익성이 가장 높다. 메리츠화재가 2015년부터 장기인보험 비중 확대에 힘을 쏟은 게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다. 조정호 회장이 확실한 성과주의 원칙을 세우고 비용 효율화를 꾀한 것도 실적 개선에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흥국화재도 지난해 146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두며 역대 최대 이익을 냈다. 흥국화재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4조5289억원, 1864억원으로 집계됐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특히 장기보험 실손 손해율의 개선세가 두드러졌다”며 “흥국화재는 고수익군인 장기보장성보험의 매출비중이 업계 대비 높은 90%를 차지한다”고 설명했다.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BNK금융그룹이 지난해 8102억원의 그룹 연결 당기순이익을 거뒀다고 2일 발표했다. 전년(7910억원)보다 192억원 증가한 규모로 사상 최대 실적이다.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각각 4558억원, 279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전년 대비 각각 13.2%, 21.0% 증가했다.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비이자이익 감소와 대규모 충당금 선제 적립에도 불구하고, 건전성 관리와 자산성장에 집중한 결과 이익이 늘었다는 설명이다.BNK캐피탈은 전년 대비 28.4% 증가한 171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 모두 증가한 가운데 건전성 개선 및 소매신용 취급감소 등의 영향으로 충당금 전입액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BNK투자증권은 채권금리 상승과 주가지수 하락으로 유가증권 관련 손실이 확대되며 전년 대비 50.6% 감소한 573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자산건전성 지표는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지속적인 부실기업 감축 노력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BNK금융 측은 설명했다. 그룹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과 동일한 0.45%, 연체율은 전년대비 0.04%p 증가한 0.40%를 기록했다.그룹 고정이하여신 커버리지 비율도 219.32%로 전년 대비 39.24%p 증가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부실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대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특히 그룹 자본적정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은 전년 대비 0.19%p 상승한 11.21%로 안정적 수준을 유지했다는 평가다.이날 이사회에서는 배당성향 25.0%에 시가배당률 8.6%, 1주당 625원의 현금배당을 결의했다. 당기순이익의 2% 상당인 160억원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BNK금융 관계자는 "올해는 어려운 대내외 여건을 감안해 안정적인 성장을 통한 수익성 위주의 경영으로 당기순이익 목표를 8700억원으로 계획했다"며 "실적개선의 성과가 주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배당성향 상향 및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정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