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미국의 대중 반도체기술 통제 전략의 핵심 중 하나인 설계 소프트웨어(EDA)를 독자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첨단기술 견제에 맞설 돌파구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26일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화웨이는 중국 토종 소프트웨어(SW) 기업들과 협업해 14㎚(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이상 반도체를 설계할 때 쓰는 EDA 개발에 성공했다. 화웨이는 올해 이 EDA를 화웨이가 기존에 생산, 활용하고 있는 반도체에 적용할 계획이다. EDA(electronic design automation·전자디자인자동화)는 반도체 구조와 해당 반도체 공정의 설계, 성능 검증까지 할 수 있는 핵심 SW다. 미국 케이던스와 시냅시스, 독일 지멘스가 세계 시장을 75% 과점하고 있다. 지멘스의 EDA 사업부도 미국 멘토그래픽스를 인수한 것이어서 사실상 미국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미국 3사의 점유율이 77%에 달하며, 중국 토종 1위인 화다주톈은 5.9%에 불과하다. 미국은 지난해 8월 3㎚급 이상 고성능 반도체에 쓰이는 EDA를 중국 등에 수출하려면 상무부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수출통제를 도입했다. 또 화웨이와 70여개 계열사를 2019년 5월 수출통제 명단(일명 블랙리스트)에 올려 해당 기업과 거래하려면 상무부의 허락을 받도록 했다. 화웨이는 핵심 반도체 설계를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에서, 생산은 수탁생산(파운드리) 전문 업체인 대만 TSMC에 맡겨 왔으나 미국의 통제로 손발이 묶였다. 하이실리콘은 7㎚급 반도체 설계 역량을 갖췄으나 미국 EDA를 쓰지 못하면서 개점휴업 상태에 빠졌다. 핵심 반도체 생산도 막혀 화웨이의 스마트폰 사업도 절반 이하로 축소됐다. 화웨이의 EDA 국산화는 미국의
이번 주(27~31일) 뉴욕증시는 은행권 위기 속 높은 변동성을 보일 전망이다. 최근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꼬리물기식으로 터지는 은행권 악재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실리콘밸리 은행(SVB)과 시그니처 은행 등 미국 은행의 연쇄 파산 후 위기는 유럽의 대형 은행, 미국의 지역, 중소형 은행권으로 전이된 모습이다. 스위스 최대 은행 UBS가 위기의 크레디트 스위스(CS)를 인수하면서 CS 위기는 일단락됐지만, 이제는 독일 최대 은행 도이체방크가 도마에 올랐다.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도이체방크 재무제표의 미국 상업 부동산과 파생상품의 노출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주 도이체방크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급등했다. CDS 채권은 발행한 국가나 기업이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으로 CDS 프리미엄이 높아졌다는 것은 위험이 커져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가 높아졌다는 의미다. CDS 프리미엄 급등으로 전 거래일 도이체방크의 주가는 장중 한 때 15% 급락했다. 또 UBS의 CS 인수 과정에서 문제가 된 이른바 '코코본드' 혹은 신종자본증권인 AT1 채권이 뇌관으로 떠올랐다. UBS는 CS를 인수하면서 CS의 AT1 채권 전액을 상각 처리했다. 이에 따라 다른 은행들이 발생한 유사한 채권도 휴지조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었다. 또 AT1 비중이 높은 은행들에 대한 시장의 경계심도 증폭했다. 도이체방크의 AT1 채권 가격도 동반 급락했다. 한편 도이체방크 위기설에 정부와 중앙은행 고위 관료들은 앞다투어 투자자 달래기에 나섰다. 도이체방크는 국제 금융 당국이 감시하는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 은행(G-SIBs)' 30개 중 한 곳이다. 또 지난해 말 기
뉴욕증시는 도이체방크를 비롯한 유럽 은행들의 주가가 크게 밀리면서 장 초반 약세를 보였으나, 시장의 우려가 과도하다는 분석이 이어지면서 반등했다. 2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2.28포인트(0.41%) 오른 32,237.53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27포인트(0.56%) 상승한 3,970.99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6.56포인트(0.31%) 오른 11,823.96으로 장을 마감했다. 투자자들은 주말을 앞두고 도이체방크를 중심으로 유럽 은행주들의 하락 등을 주시했다. 유럽에서는 UBS가 크레디트스위스(CS)를 인수하면서 은행 위기가 일단락됐으나, 독일 최대 은행으로 알려진 도이체방크의 주가가 다시 급락하고 있다는 소식에 투자 심리가 악화했다. 도이체방크의 주가는 이날 유럽에서 회사의 부도 위험을 보여주는 신용디폴트스와프(CDS) 프리미엄이 간밤에 크게 올랐다는 소식에 8% 이상 하락했다. 도이체방크의 주가는 장중 14% 이상 떨어졌다. CS와 코메르츠방크의 주가도 5% 이상 하락 마감했다. 도이체방크의 5년 만기 CDS 프리미엄은 220bp를 넘어섰으며, 전날 하루 오름폭은 역대 최대를 나타냈다. CS가 UBS와의 합병 과정에서 CS가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인 AT1채권(코코본드)이 상각 처리되면서 다른 은행들이 발행한 유사한 채권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도이체방크의 AT1 채권 가격도 크게 하락했다. ATI 채권은 은행이 파산하는 상황에 대비해 자본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행되는 채권으로 이를 통해 자본을 조달한 AT1 비중이 높은 은행들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도이체방크는 CS와 상황이 다르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