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4분기 매출 42조7천100억원, 영업이익 1조6천400억원을 기록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 경험(MX)의 경우 판매 둔화와 중저가 시장 수요 약세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하락했다.
코로나 특수가 사라지며 가전도 직격탄을 맞았다.
TV 사업을 담당하는 영상디스플레이(VD) 부문은 연말 성수기 수요 증가와 네오 QLED 등 프리미엄 제품 중심 판매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했지만, 생활가전 사업은 시장 악화와 경쟁 심화에 따른 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하락했다.
VD와 가전 실적을 합한 4분기 영업손실이 600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전의 적자 폭이 VD의 실적 증가폭을 웃도는 수준이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VD·생활가전사업부의 적자는 2015년 1분기(-1천400억원) 이후 7년만이다.
반면 LG전자는 작년 매출 기준으로 월풀을 제치고 2년 연속 글로벌 가전 1위를 지켰다.
30일(현지시간) 발표된 월풀의 작년 매출은 197억2천400만달러(한화 약 25조4천409억원)으로, LG전자 내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 매출(29조8천955억원)보다 적다.
월풀 역시 작년 영업손실 10억5천600만달러(약 1조4천807억원)를 냈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의 미래 먹거리 중 하나인 전장 사업(자회사 하만)은 2분기 연속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하만은 연간으로 봐도 매출 13조2천100억원, 영업이익 8천8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네트워크도 국내 5G망 증설과 북미 등 해외 사업 확대로 매출이 증가했다.
삼성전자의 작년 시설투자액은 53조1천억원이다.
이중 반도체는 47조9천억원, 디스플레이(SDC)는 2조5천억원이다.
◇ 1분기도 어렵다…반도체 부문 적자 전망 잇따라 문제는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이 올해 1분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1분기에도 글로벌 IT 수요 부진과 반도체 시황 약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부문의 1분기 적자 전망도 잇따르고 있다.
NH투자증권은 반도체 부문이 올해 1분기 2조5천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첫 반도체 부문 분기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가격 하락세가 심화하며 1분기 전체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9% 하락한 64조1천억원, 영업이익은 81% 감소한 8천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반도체는 2조5천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첫 분기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메모리 반도체에서는 1조7천억원의 영업적자가 발생하고, D램에서도 흑자 유지가 쉽지 않을 전망"이라며 "2분기까지 실적 둔화가 지속하고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6% 감소하는 19조원에 머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실적 충격을 안긴 메모리의 경우 신규 중앙처리장치(CPU) 출시에 대비해 서버·PC용 DDR5 수요 대응을 위한 준비를 확대하는 한편 LPDDR5x 등 모바일 고용량 제품 수요에도 적극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갤럭시S23 등 플래그십 디바이스 판매를 확대하고 프리미엄 태블릿과 웨어러블 제품 판매도 강화할 방침이다.
적자를 낸 생활가전은 비스포크 인피니트 라인 등 신제품 출시를 통해 수익성 확보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올해는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단기적 시황 약세가 이어지다가 하반기에는 수요가 회복되기 시작할 것"이라며 "DS 부문은 첨단 공정과 제품 비중을 확대하면서 미래 대응을 위한 인프라 투자 등을 통해 시장과 기술 리더십을 더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허위·불성실 정보보호 공시를 당국이 검증하거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정보보호산업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정보보호 공시제는 기업 등이 정보보호에 투자하는 비용과 인력 등 현황을 공개하는 제도로 의무 공시가 도입된 지난해 이행률은 99.5%였다. 개정안 통과로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하고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경우 수정을 요청할 법적 권한이 마련됐다. 검증이나 수정 요청을 거부하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과기정통부는 정보보호 공시 내용의 세부적인 검증 방법과 절차 등은 하반기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마련할 예정이라며 산학연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