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투자심리 위축 불가피…증권업종 상대 강세 예상" 이달 들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사태 등이 이어지면서 금융업종 투자심리가 악화함에 따라 국내 증시에서도 은행과 증권업종이 9% 이상 하락했다. 당분간 금융업종의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2일부터 24일까지 금융지주·은행 종목 9개를 편입한 'KRX 은행' 지수와 증권 종목 14개를 편입한 'KRX 증권' 지수는 나란히 9.46%씩 하락했다. 양 지수 수익률은 KRX 지수 28개 중 가장 낮았다. 은행, 증권 다음으로는 KRX 300 금융(-9.11%), KRX 보험(-8.31%) 등이 하락률이 높았다. 은행 지수 구성 종목별로 보면 DGB금융지주(-12.66%), 하나금융지주(-11.12%), 신한지주(-11.07%) 등의 하락률이 높았다. 은행주는 연초만 하더라도 실적 호전과 배당 확대 기대감에 급등 랠리를 펼쳤다. 그러나 이달 들어 SVB 사태와 CS 사태가 줄줄이 터지면서 투자심리 악화에 직격탄을 맞아 연초 상승분을 그대로 반납하고 연초 대비해서도 2.20% 하락했다. 특히 연초 은행주 급등을 이끈 외국인이 이달에만 KB금융 2천380억원, 신한지주 1천950억원, 하나금융지주 690억원, 우리금융지주 520억원 등 4대 금융지주 주식을 5천540억원 순매도했다. 글로벌 증시에서 금융 섹터 주가가 하락함에 따라 관련 펀드 자금이 유출되고, 외국인도 리스크 관리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증권 지수 구성 종목별로도 한국금융지주(-11.94%), 메리츠증권(-11.75%), 유안타증권(-11.39%), 한화투자증권(-10.64%) 등이 줄줄이 하락했다. 증시 부진에 더해 부동산 미분양 증가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이달 외국인의 은행·증권·
레인보우로보틱스, 82계단 뛰어 10위권 신규 진입 올해 들어 코스닥시장의 시가총액 상위 10위권 종목들의 자리가 대부분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2차전지 종목들의 약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공개매수 여파가 순위 변동에 영향을 끼쳤고, 대장주 삼성전자의 움직임에 순위가 급등한 사례도 있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24일 기준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지난해 말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한 종목은 HLB 1개뿐이었다. 지난해 말까지 코스닥 시총 1위 자리를 지켰던 셀트리온헬스케어는 3위로 밀려났다. 기존 2위였던 에코프로비엠이 1위 자리로 올라섰고, 에코프로는 기존 7위에서 2위로 5계단 상승했다. 이 기간 셀트리온헬스케어의 시총은 9조1천780억원에서 10조174억원으로 늘었으나, 2차전지 종목의 강세에 순위는 오히려 내려갔다. 같은 기간 에코프로비엠의 시총은 기존 9조75억원에서 22조7천877억원으로, 에코프로는 2조5천966억원에서 11조7천639억원으로 각각 2배, 5배 이상 수준으로 몸집을 불렸다. 또 다른 2차전지 종목인 엘앤에프는 에코프로의 순위 급등으로 3위에서 4위로 한 계단 하락했으나, 시총은 6조2천491억원에서 9조6천529억원으로 3조4천억원 이상 늘었다. 2차전지 종목은 포스코케미칼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대형주 호재에 힘입어 주가가 단기 급등한 가운데 미국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의 수혜도 기대하고 있다. AMPC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인센티브 중 하나로, 미국 내에서 배터리 생산 시 1킬로와트시(kWh)당 35달러의 세액공제를, 배터리 모듈까지 생산하면 추가 10달러 공제를 제공한다. 정원석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AMPC 시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배
다올금융그룹은 24일 다올투자증권 대표이사로 황준호 다올저축은행 사장(61·왼쪽)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다올저축은행 대표이사 사장에는 김정수 다올저축은행 부사장(53·오른쪽)이 선임됐다. 황 신임 대표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대우증권 부사장과 다올투자증권 그룹전략부문 대표를 지냈다. 김 신임 대표는 한국외국어대 국제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다올투자증권 경영지원부문 부사장, 다올저축은행 경영총괄 부사장 등을 거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