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 전체 내용은 동영상을 클릭 하시거나, 유튜브 채널 '한경코리아마켓'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안재광 기자
최근 금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오른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금값 슈퍼사이클 진입…향후 10년간 오를 가능성" [안재광의 더부자]
▶조규원 작가
연준의 긴축 기조가 둔화됐기 때문인데요. 이 원인만 따지고 생각을 한다면 투자 자산들이 다 같이 큰 상승이 있었어야 하지만 특히 금의 상승이 컸던 이유는 연준의 긴축 기조가 둔화되는 것 물론 중요한데, 플러스 수많은 경제지표들. 예를 들자면 장단기 금리 차이라든가 경기 선행지수 등이 올해 경기침체를 강하게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기는 침체되는데 연준의 긴축 기조가 둔화됨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유지가 된다면, 이것은 스테그플레이션 가능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스테그플레이션 기간 가장 빛나는 자산이 바로 금이었기 때문에 '금에 투자를 해야 되는구나'하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

▶안재광 기자
달러가 워낙 강세를 보였다가 최근 빠르게 떨어졌는데, 이 부분도 영향을 준 것일까요.

▶조규원 작가
네, 맞습니다. 금 가격과 달러 인덱스를 겹쳐서 보면 반대로 가는 경향이 큽니다. 그래서 달러가 강해져서 금 가격이 하락했다. 반대로 달러가 약해져서 금 가격이 상승했다. 하는 건 분명히 이유가 될 수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이런 이유로 보기 시작하면, 우리는 금에 투자할 때 달러 인덱스를 예측해야 되나라고 생각을 할 수가 있잖아요. 그런데, 환율을 예측한다는 건 정말 정말 어려운 영역이고. 실제로 금 투자 할 때 달러 인덱스를 오히려 빼고 다른 부분에 더 집중을 해야 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안재광 기자
금 가격이 최근에 많이 올라서, 지금 투자했다가 물리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지금도 금 투자하기 좋은 시기인지가 궁금한데요.

▶조규원 작가
금 가격은 역사상 최고치에 근접했습니다. 내가 만약에 여기서 물린다면, 이전 최고치가 2011년쯤 되니까 거의 10년 만에 다시 최고치에 다시 온 거잖아요. 여기서 내가 만약 물린다면 앞으로 10년 동안 나는 다시 원금도 못 찾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근데, 금 가격 데이터를 300년치 쭉 놓고 보면, 사실 금은 5000년 간의 가격 데이터가 있습니다. 일단 300년치를 두고 보면, 1820년쯤 고점을 찍고, 이후 고점을 1970년쯤에 돌파를 합니다. 150년 만에 돌파가 나오잖아요. 그러면 이 당시 사람들은 만약 물리면 150년 동안 나 본전을 못 찾는 것 아니야 하고 생각을 했겠지만. 사실 그 이후로 단 한 번도 그 가격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어요.

▶안재광 기자
그럼 계속 올랐습니까?

▶조규원 작가
1980년에 다시 고점을 찍고, 그 다음부터 다시 이제 20년 동안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 가격에 다시 도달하는 건 2006년이어서, 26년 만에 다시 고점에 다다르게 되는데요.

▶안재광 기자
가격 사이클이 굉장히 긴데요. 주식 사이클하고 비교가 안 될 만큼. 금을 투자할 때 그 정도 사이클을 감안을 해서 예를 들면 10년, 20년, 방금 150년 얘기도 하셨는데. 그러면 잘못 물리면 완전히 망하는 건데. 지금 시점에 금을 사는 게 고점에서 사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은 물론 당연히 못 사시겠지만. 사더라도 최소한 몇 년을 보고 투자를 해야 되는 것이네요.

▶조규원 작가
금이란 자산은 일단 짧게 오른 경우에는 9년, 길게 오른 경우에는 13년 정도까지 상승을 합니다. 오르는 강한 추세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상승을 해서 전 고점을 돌파한다는 건 사실 어마어마한 의미가 있는 거예요. 1980년대 고점을 2006년에 돌파했는데, 이 가격은 그 이후로 단 한 번도 다시 돌아오지 않는 가격이 되고. 그리고 2011년에 고점에 이제 다시 온 겁니다. 물론 당연히 고점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거 알죠. 하지만 과거의 인류는 그렇지 않았겠습니다. 금 가격은 한 번 오를 때 짧게는 9년, 길게는 13년까지 오른 추세성이 있기 때문에 지금의 이런 고점 돌파는 어떻게 보면 너무 당연한 수순이다. 이렇게 생각을 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안재광 기자
금 가격을 예상할 때, 가장 참고할 만한 지표가 무엇입니까.

▶조규원 작가
단 한 가지 지표 밖에 못 본다라고 가정 한다면, 저는 실질 금리라는 데이터를 볼 것 같습니다. 실질 금리가 뭐냐면 정말 쉽게 표현해서 은행에 내가 예금을 했을 때 받는 이자가 연 5%이고, 1년에 물가 상승률이 3%면, 물가상승률을 제외한 실질적 이득은 2%가 되는 거잖아요. 5%에서 3%를 뺀 것이 실질 금리라는 것인데. 실질 금리가 플러스가 되면 사람들은 굳이 이자도 안 주고 배당도 없고 월세도 없는 금과 같은 자산을 원하지 않는다는 거죠. 근데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빠져들면 어떻게 되냐면, 내가 은행에 예금을 했는데도 매년 물가가 더 많이 올라서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은행 예금을 하기보단 차라리 물가에 해당하는 물건을 사놓고 싶어 하는 그런 욕구가 더 커지게 됩니다. 자산이 크신 분들의 경우 금과 같은 곳에 수요가 더 몰려서 이럴 때 항상 금액 슈퍼사이클이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는데요. 지난 90년간의 실질 금리 데이터를 보면,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빠져들기 시작하는 시점이 1934년 그리고 1970년, 2002년부터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빠져들었던 그 시점부터 금 가격은 상승이 시작돼야 되고, 실질 금리가 최저점을 찍었을 때 금 가격은 거의 최고점 부근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을 텐데요. 그것을 실제로 지난 100년간의 금가격 데이터에 제가 표시를 해두었어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1934년부터 시작해서 1947년까지 정확히 금값이 상승하는 걸 알 수가 있고. 그다음에 1970년부터 다시 슈퍼 사이클이 시작돼서 네 1980년에 고점을 찍게 되고. 마찬가지로 2002년부터 시작을 해서 2011년에 고점을 찍는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로 빠져드는 게 2019년부터 다시 시작됐기 때문에 지금은 거대한 상승장 시작점에 있다. 이렇게 생각을 해보시면 좋지 않을까요.

기획 한경코리아마켓
총괄 조성근 부국장
진행 안재광 기자
편집 박정호 PD
촬영 박정호 PD
디자인 이지영·박하영
제작 한국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