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는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과 손잡고 진행한 ‘세컨포레스트와 함께 하는 회복의 숲’ 캠페인이 약 2만명의 참여로 종료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에 따라 오는 4월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북 울진 지역에는 3만그루 이상의 나무가 식수된다. ‘세컨포레스트와 함께하는 회복의 숲’은 대형 산불 피해지를 복구하기 위해 기획된 시민 참여형 환경보호 캠페인이다. 지난 3월 20일부터 24일까지 닷새간 두나무의 메타버스 플랫폼 세컨블록(2ndblock)에서 진행됐다. 세컨블록 내 마련된 가상의 숲 세컨포레스트에 참여자들이 나무 1그루를 심으면 경북 울진에 실제 나무 2그루가 식재됐다. 캠페인 첫날에만 4488 그루의 나무가 세컨포레스트에 식수 됐으며, 5일간 캠페인에 참여한 인원은 총 1만9790명에 달했다. 이벤트 시작 1시간 전부터 참여 가능 인원인 300명이 몰려 빠르게 마감 됐다. 산림 복원 관련 OX 퀴즈를 통해 산림 회복과 산불 예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시간도 가졌다. 특히 참여자들은 실시간 소통을 통해 미션 완료 팁을 공유하는 등 서로에게 따뜻한 응원을 아끼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피해목 제거, 양묘 및 식수 등 미션 수행을 통해 산불 이후 산림 복원 과정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호평 받았다. 산불로 인해 황폐해진 산림의 모습을 세컨포레스트 맵에 고스란히 구현해 산불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등 교육적 효과도 돋보였다. 캠페인에 따라 경북 울진 산불 피해지역에는 3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심겨 ‘회복의 숲’이 조성되며, 참여자들에게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배롱나무가 실제 복원 수종으로 활용돼 ‘가상&
신현성 차이페이 홀딩컴퍼니 대표에 대한 수사가 1400억원 규모의 벤처캐피털(VC) 투자 유치 사기 사건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27일 서울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검찰은 차이홀딩스가 VC들에 허위 정보를 제공해 투자를 유치한 만큼 투자금 전액을 사기 범죄 금액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부 VC 심사역도 차이홀딩스 경영진으로부터 속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신현성 대표 측은 VC 투자 유치 과정에서 기망 행위는 전혀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 검찰 관계자는 "차이홀딩스의 최대주주인 신 대표는 회사 설립 초기 차이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했다고 거짓으로 홍보해 VC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는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며 "신 대표에게 '속았다'는 VC 관계자들의 진술도 다수 확보한 상태"라고 말했다.한편 차이홀딩스에 투자한 VC 심사역들은 다소 혼란스러운 입장을 밝혔다.한 VC 심사역은 "검찰의 주장과 차이홀딩스의 입장도 들어봤지만, 누구 말이 맞는 건지 잘 모르겠다"며 "검찰 참고인 조사에서도 중립적인 입장에서 얘기를 했고, 수사 결과가 나와봐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신 대표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 시스템 사업을 계획해 실행했고 투자자들에게도 사업구조를 있는 그대로 설명했다. 지난해 11월에도 검찰이 같은 취지로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기각됐다"며 이같은 검찰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정효림 블루밍비트 기자 flgd7142@bloomingbit.io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코빗은 고객이 설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가상자산을 매매할 수 있는 오토 트레이딩(Auto Trading)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이용자가 설정한 규칙에 따라 트레이딩 봇(Trading Bot)이 자동으로 가상자산을 매매한다. 트레이딩 봇은 그리드 봇과 무제한 그리드 봇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그리드 봇은 이용자가 설정한 호가(그리드) 범위 안에서 시세보다 높은 가격에는 일정한 호가마다 매도 주문을 만들고 낮은 가격에서는 일정한 호가마다 매수 주문을 생성한다. 무제한 그리드 봇은 그리드 봇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설정한 가상자산의 목표 평가금액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주문 간격(그리드)마다 가상자산을 자동으로 매매한다.따라서 무제한 그리드 봇은 시세가 상승하면 보유 가상자산을 매도해 차익을 실현함으로써 목표 금액을 유지하며 시세 하락 시에는 가상자산을 매수해 수량을 늘림으로써 목표 평가 금액을 맞추게 된다. 서비스 이용자 입장에서는 어떤 봇을 선택하더라도 저가 매수, 고가 매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상자산 투자에서 좀 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고 코빗 측은 설명했다.한편 코빗은 다음 달 3일까지 이번 오토 트레이딩 서비스 출시 기념 이벤트도 진행한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 가상자산 매수 체결을 완료한 고객을 대상으로 누적 체결 금액에 따라 보상을 지급한다.서비스 수수료는 일반 매수, 매도 주문 수수료와 동일하며 현재 코빗이 시행 중인 메이커 인센티브(호가창을 구성하는 주문을 내면 체결된 금액의 0.01%를 고객에게 보상으로 지급) 혜택도 그대로 적용된다. 트레이딩 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