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켈리 글로벌 수석전략가 "주식·채권 추가 회복 가능성" “다양한 지표 종합 결과 11월 고용보고서 과장됐다”
사진=AP미국의 11월 고용지표가 시장의 예상을 웃돌았지만, JP모건은 노동시장이 실제로는 냉각되는 중이라고 평가했다. 노동시장의 냉각은 향후 몇 달 안에 주식과 채권의 가격이 추가적으로 회복할 환경을 만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JP모건의 글로벌 수석 전략가인 데이비드 켈리는 지난 5일(현지시간) 내놓은 주간 전망을 통해 “다양한 노동 시장 데이터를 종합해 만든 (노동시장에 대한) 균형잡힌 견해는 노동 시장이 실제로 냉각되고 있으며, 계속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는 미국 중앙은행(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사이클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미 노동부가 지난 2일 발표한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11월 비농업 신규 고용자 수는 26만3000명으로, 시장 전망치 20만명을 크게 웃돌았다.
이에 대해 켈리는 “(미 노동부의 11월 고용보고서가) 고용 시장의 상황을 과장한다고 믿을 많은 이유가 있다”며 △고용보고서가 지난 두달간의 고용을 2만3000개 삭감한 점 △대표적인 노동시장의 선행지표인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4개월 연속 감소한 점 △고용 조사에서 노동부가 신설되거나 폐업하는 회사 수를 조정하는 모델이 경기 순환의 변곡점을 포착하는 데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점 등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용시장이 강하지 않은 걸 시사하는 다른 지표들도 제시했다.
우선 미 정부의 가계 조사 상으로는 11월에 근로자 수가 13만8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개월 연속 감소세다. 가계조사는 고용조사보다 변동성이 더 큰 것으로 인정된다고 켈리는 설명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4주간의 평균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9월말 이후 천천히 증가한다는 점도 고용 시장이 강하지 않은 근거로 지목됐다. 특히 지속적인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더 큰 폭으로 증가해 현재 수치가 2월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JP모건은 강조했다.
정부의 10월 고용 및 이직률 조사 결과 채용이 계속해서 감소한 점, 민간 조사 결과 11월의 해고 발표가 작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는 점 등도 제시됐다.
정부의 고용보고서에 시간당 평균 소득 상승폭이 전년 동기 대비 5.1%로 컨센서스(4.6%)를 웃돈 데 대해서도 JP모건은 임금상승률이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 7.7%에는 못 미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동 공급이 줄어드는 것처럼 보이는 배경으로는 인구통계적 요인이 꼽혔다. 취업했거나 구직활동에 나선 16세 이상 민간인 비율인 노동시장 참여율의 11월 수치가 2년 전 대비 1.16%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대해 켈리는 “같은 기간 18~64세 미국인 수는 0.2% 증가한 반면, 65세 이상 미국인 수는 7.2% 증가했다”며 “65세 이상의 미국인은 노동에 나설 가능성이 훨씬 낮기 때문에, 고령화만으로도 전체 노동시장 참여율 하락의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노동시장이 계속 하향 추세를 보이는데도 주식 가격의 추가적인 회복을 점친 이유로는 주가의 선행성이 제시됐다. 켈리는 “노동시장이 전반적인 경제활동에서 일반적으로 추세에 뒤처지는 반면, 금융시장은 이를 주도하는 경향이 있다”며 “지난 9번의 경기 침체 중 8버ᅟᅡᆫ에서 주식 시장은 경기 침체의 바닥보다 먼저 바닥을 기록했다. 또 9번 모두 주식시장의 바닥 이후 실업률이 고점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세계적인 투자은행(IB) 모간스탠리가 전체 직원의 약 2%에 달하는 정리해고를 단행한 것으로 전해졌다.6일(현지시간) CNBC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모간스탠리가 전체 직원의 약 2%를 삭감했다고 처음 보도했다. 이는 모간스탠리 직원 81,567명 중 약 1,600명을 해고한 것이며 해고는 회사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전사적으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제임스 고먼 모간스탠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모간스탠리가 완만한 삭감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시기나 해고 규모는 언급하지 않았다. 고먼은 “몇몇 사람들은 나가게 될 것”이라며 “대부분의 사업에서 그것이 수년간의 성장 뒤에 하는일이다”라고 덧붙였다.모간스탠리는 타 경쟁사들과 같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최근 몇 년간 직원수가 급증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주식 거래가 활발해지면서다. 모간스탠리는 그간 두 번의 대규모 인수가 진행되는 등의 영향으로 2020년 1분기부터 올해 3분기까지 34% 급증했다.모간스탠리의 이번 해고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동안 보류되었던 ‘월가의 관행’을 타 경쟁업체들의 행보에 따라 시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일반적으로 성과급을 지급하기 전 실적이 가장 저조한 직원들을 1~5% 가량 정리해왔다. 나머지 직원들에게 더 많은 돈을 주기 위함이다.경쟁업체인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바클레이즈는 이미 해고를 단행했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지난 9월 경제 침체와 수익 감소로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씨티그룹은 지난달 9일 트레이더 50명을 해고했다. 바클레이즈도 이날 트레이딩 관련 부서 200여명을 감원한 것으로 전해졌다.이러한 관행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잠시 중단됐지만,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금융·투자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다시 살아난 것으로 보인다. 모간스탠리의 본격적인 인력 감축은 2019년 이후 처음이다.모간스탠리의 이번 감축은 전 분야에 걸쳐 전세계적으로 진행됐지만 CNBC의 소식통에 따르면 재무 고문들은 해고에서 제외될 것이라고 전해졌다. 모간스탠리가 막대한 자산 관리 부서와 최고 수준의 거래 및 자문 운영으로 유명하며, 고객 자산 관리로 수익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회사 대변인은 사안에 대한 언급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한편 위축된 은행업계에 칼바람이 불며 주가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전일 국채금리 급등에 주요 은행주가 하락한데 이어 이날은 경기침체 우려에 급락했다. 지난 이틀간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하락률은 약 9%, 모간스탠리·골드만삭스·씨티그룹의 하락률은 약 5%에 달한다.김나영기자 nana@wowtv.co.kr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피벗(Pivot·전환)' 가능성에 비상등이 켜진 가운데 글로벌 IB(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연준이 예상보다 더 오래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음을 경고하고 나섰다.6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얀 하치우스(Jan Hatzius) 골드만삭스 수석 전략가는 "연준이 내년 5월까지 금리인상을 지속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면서 "최소 2024년까지는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이날 얀 하치우스는 연준이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0.50%p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그동안 네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금리인상)을 밟은 연준이 이번 FOMC 회의에서는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라며 "시장이 예상한대로 빅스텝(0.50%p 금리인상)에 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다만 연준의 금리인상이 시장 예상보다 더 길어질 수 있음을 지적하며 "연준이 내년 1월 0.25%p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후 3월과 5월 FOMC 회의에서 각각 0.25%p 인상에 나설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연준이 내년 1월 한 번에 0.50%p 금리인상을 강행할 확률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미국의 기준금리는 지난 11월 FOMC 회의 이후 3.75%~4.00%로 설정되어 있다. 골드만삭스의 시나리오대로라면 12월 0.50%p 금리인상 이후 1월과 3월, 5월 각각 0.25%p씩 인상할 경우 미국의 최종금리는 5.00%~5.25%를 기록하게 된다.한편 얀 하치우스 수석 전략가는 연준이 최소 2024년까지는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에는 어떠한 금리인하 소식도 들려오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경제가 시장 예상보다 더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는 만큼 연준도 섣불리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앞서 지난주 미국의 11월 고용보고서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이후 경제 상황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아 연준이 긴축 기조를 장기간 유지할 것이란 목소리가 커진 바 있다. 해당 소식에 미국 증시는 이틀 연속 하락하며 다우 지수의 경우 이틀 사이 1,000포인트 가까이 급락했다. 또한 이날 S&P500 지수도 전장 대비 1.44% 하락하며 주요 지지선인 4,000선이 무너진 상황이다.다만 하치우스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 후행 지표에 집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연준이 후행 지표에 집착하지 않음으로써 경기 침체가 발생할 확률이 소폭 감소했다"고 전했다.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역시 지난 28일(현지시간)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꺾여도 여전히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금리인하가 내후년인 2024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사진=마켓워치)홍성진외신캐스터
올해 미국 증시가 급락하며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고전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초대형 헤지펀드 시타델의 최고경영자(CEO) 켄 그리핀(Ken Griffin)이 독보적인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6일(현지시간) CNBC는 "켄 그리핀이 이끌고 있는 시타델의 대표 펀드 웰링턴(Wellington)의 수익률이 지난달 약세장에서 0.86% 추가 상승했다"면서 "연초 대비 벌써 31.8% 급등해 헤지펀드 가운데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이날 CNBC는 시타델의 5가지 핵심 전략인 주식, 원자재, 채권, 퀀트, 신용 투자가 지난 달 모두 긍정적인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타델이 관리하는 전술 트레이딩 펀드(Tactical Trading Fund)와 주식 펀드(Equities Fund)는 지난달 각각 0.66%, 0.28% 상승해, 올해 들어 22.43% 17.81%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또한 시타델의 글로벌 채권 펀드(Global Fixed Income Fund)는 지난 달 1.78% 상승해 연초 대비 약 28.13%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올해 들어 30% 가까이 급락하고 있는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와는 상당히 대조적인 수치다.시타델의 올해 자산운용규모(AUM)는 약 570억 달러(약 80조 2,617억 원)에 달한다. CNBC는 올해 인플레이션, 금리인상, 코로나 재유행, 지정학적 리스크 등 증시를 둘러싼 각종 변수가 넘쳐나는 상황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시타델의 투자 전략이 빛을 발했다고 평가했다.미국의 투자 전문매체 헤지 팔로우(Hedge Follow)에 따르면 켄 그리핀이 이끄는 펀드에서 상위 5개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은 아마존(AMZN), 테슬라(TSLA), 애플(AAPL), JP모간(JPM), 보스턴 사이언티픽(BSX)이다.한편 켄 그리핀이 이끄는 시타델이 지난 23일(현지시간) 광고 기술 업체 트레이드데스크(TTD)와 미국의 대표적인 곡물회사 번지(BG)에 대한 공격적인 베팅을 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당시 시타델은 트레이드데스크 주식 980,622주를 추가 매입해 보유 지분을 기존 대비 204% 가까이 늘렸다. 또한 번지 주식 역시 941,945주 추가 매수에 나섰다.(사진=CNBC)홍성진외신캐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