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쓸 돈 없어"…年 10% 이자에도 할부 긁는다
무이자혜택 줄었는데 결제 증가
리볼빙 금액도 역대 최대치

7일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신한 삼성 국민 현대 등 8개 카드사의 할부결제액은 지난 9월 말 기준 41조4845억원으로 지난해 말(37조7421억원)보다 9.9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카드사들이 매기는 할부금리는 연 8.6~19.9%에 이른다. 특히 연 18~20% 금리로 할부를 이용하는 소비자 비중(무이자할부 제외)이 50~80%에 달했다. 롯데카드와 삼성카드의 연 18~20% 금리 비중은 각각 76.24%, 75.62%였다.
업계에선 최근 무이자할부 혜택이 줄었는데도 할부결제액 증가세가 여전하다는 점을 이례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 카드사 임원은 “소비자들이 일시불 결제를 할 여유가 없는 것”이라며 “업계에선 경기 침체 전조가 아니냐는 해석이 많다”고 했다.
소득이 낮은 소비자들의 카드론 부담이 커지는 양상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롯데카드의 12개월 카드론 이용자 중 연 18~20% 금리 비중이 9월 12.18%에서 10월엔 19.74%로 급등했다. 삼성카드도 같은 기간 연 18~20% 금리 비중이 28.43%에서 31.83%로 높아졌다.
당장 일시불로 결제했다가 감당을 못하면서 리볼빙으로 넘어가는 금액도 급증하고 있다. 결제성 리볼빙은 같은 기간 6조824억원에서 6조9293억원으로 14.08% 불어나면서 최대치를 경신했다. 리볼빙 금리도 연 14.35%(하나카드)~18.46%(우리카드)로 최고금리에 근접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할부·카드론·리볼빙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 위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국은행은 작년 말 ‘소비제약 임계치’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5.8%로 추산했다.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이 45.8%를 넘어서면 소비가 줄어들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국내 차주 997만 명의 평균 DSR은 50%에 달한다. 원리금 부담이 커지는 만큼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는 “3분기 들어 인건비가 인플레이션을 못 따라가면서 실질소득이 줄어들고 있다”며 “기존 금융권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웠다는 점도 소비자들이 할부를 이용하게 된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