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우선주가 시장 퇴출 위기에 놓였다. 상장주식 수가 지난 10월부터 강화된 우선주 상장 유지 요건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상장폐지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내년 6월까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상장주식 수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약세장 속 투자자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중공업, SK네트웍스, DB하이텍, 현대비앤지스틸, 흥국화재, 남양유업 등 6개 종목 우선주가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기에 놓였다. 연말에도 상장주식 수가 20만 주 미만이거나 올 하반기(7~12월) 월평균 거래량이 1만 주 미만이면 내년 1월 2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내년 6월까지 지정 사유를 해소하지 못하면 상장폐지된다. 이번에 관리종목 지정 위기에 놓인 6개 종목은 모두 상장주식 수가 20만 주 미만이다. 삼성중공업과 현대비앤지스틸 우선주는 7월부터 11월까지 월평균 거래량도 1만 주를 밑돌았다.금융위원회는 2020년 7월 우선주 투자자 보호 방안을 발표하고 상장주식 수 상장폐지 요건을 강화했다. 현대건설 등 일부 우선주 종목에서 이상 급등 현상이 발생하자 이를 막기 위해서다. 작년 10월부터 상장주식 수가 10만 주 미만인 우선주는 관리종목으로 지정했다. 올해 10월부터는 20만 주로 요건을 강화했다.상장사들은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유상증자로 상장주식 수를 늘리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시장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설명이다.한 기업 관계자는 “약세장 속 주식 투자심리가 약해진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유상증자에 참여할지 미지수”라고 말했다.최세영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
일부 우선주들이 시장 퇴출 위기에 놓였다. 상장주식수가 지난 10월부터 강화된 우선주 상장유지 요건에 미달했기 때문이다. 상폐 위기에서 벗어나려면 내년 6월까지 유상증자 등을 통해 상장주식수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약세장 속 투자자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중공업, SK네트웍스, DB하이텍, 현대비앤지스틸, 흥국화재, 남양유업 등 6개 종목 우선주가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기에 놓였다. 연말에도 상장주식수가 20만 주 미만이거나 올 하반기(7~12월) 월평균 거래량이 1만 주 미만이면 내년 1월 2일 관리 종목으로 지정된다. 내년 6월까지 지정 사유를 해소하지 못하면 상장폐지된다. 이번에 관리종목 지정 위기에 놓인 6개 종목은 모두 상장주식수가 20만 주 미만이다. 삼성중공업과 현대비앤지스틸 우선주는 지난 7월부터 11월까지 월평균 거래량도 1만 주를 밑돌았다. 금융위원회는 2020년 7월 우선주 투자자 보호방안을 발표하고 상장주식수 상폐 요건을 강화했다. 현대건설 등 일부 우선주 종목에서 이상급등 현상이 발생하자 이를 막기 위해서다. 작년 10월부터 상장주식수가 10만주 미만인 우선주는 관리 종목으로 지정했다. 올해 10월부터는 20만주로 요건을 강화했다.상장사들은 대책을 고심하고 있다. 유상증자로 상장주식수를 늘리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시장 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설명이다. 한 기업 관계자는 “약세장 속 주식 투자심리가 약화된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유상증자에 참여할지 미지수”라며 “작년 현대건설이 상장주식수를 늘리기 위해 유상증자로 자금을 조달했다가 주가가 하락한 적도 있다”고 했다. 현대건설 우선주의 주가는 이날 6만2500원으로 유상증자 발행가액(8만8100원)을 30% 가량 밑돌고 있다. 최세영 기자 seyeong2022@hankyung.com
요즘 경기도 평택에는 조선소 출신 근로자들이 넘쳐난다. 삼성전자 반도체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다. 조선소보다 일당이 30~40%가량 높은 까닭에 이곳으로 몰리는 근로자들이 적잖다는 후문이다.평택 반도체 공장 현장에는 조선소 출신 일용직 근로자는 물론 삼성중공업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직원들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이들 회사가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공장 건설에 참여하고 있어서다.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은 삼성전자를 통해 올해에만 7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렸다. 앞으로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평택에 100조원가량을 쏟아부어 반도체 생산라인 3개를 추가로 건설하기 때문이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물산(매출 4조4477억원) 삼성엔지니어링(2조2012억원) 삼성중공업(1728억원) 등 삼성그룹 계열사가 삼성전자를 통해 올린 매출은 올 3분기 누적 기준 6조8218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동기(3조9736억원)보다 71.6% 불었다.삼성엔지니어링의 3분기 누적 매출에서 삼성전자를 통해 올린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30.9%에 달했다. 삼성물산과 삼성중공업은 각각 13.7%, 4.0%에 달했다. 이들 삼성그룹 계열사 매출의 상당액은 삼성전자가 경기 평택시에 짓는 반도체 공장 건설과 관련이 깊다. 삼성전자는 평택 289만㎡(약 87만평) 부지에 2030년까지 6개 반도체 생산라인(P1L~P6L)을 구축한다. 1·2공장을 완공한 삼성전자는 내년까지 3공장 건설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4~5공장도 준공한다. 반도체 공장 한 곳을 짓는 데 30조원 이상 투자비가 필요한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총 100조원가량을 반도체 공장에 쏟는 셈이다. 반도체 공장 설계와 관련 공정이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 기밀인 만큼 주요 라인의 시공 계약은 그룹 계열사와 맺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은 3공장 건설이 마무리되는 내년 말까지 관련 매출이 발생할 전망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내년 말까지 5500억원 규모의 3공장 Ph4(상층동편) 공사를 맡는 계약을 지난 24일 체결했다. 이 회사는 지난 9월 말 기준 삼성전자로부터 16조4874억원 규모의 누적 일감을 수주했다. 현재 납품액을 제외한 수주액은 1조2841억원 규모다. 삼성중공업도 3공장 Ph4(상층동편)의 웨이퍼 가공이 이뤄지는 팹(FAB)동 마감공사를 수주했다고 지난 29일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내년 말까지며 금액은 3300억원이다. 삼성물산도 삼성전자와 내년 3~9월까지 3공장 공사와 관련한 공사를 진행하는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100조원가량을 추가로 쏟아부어 4~6공장을 짓는 만큼 같은 기간 삼성그룹 계열사들의 공사 매출도 상당폭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